혈관내 이식 설치 가능한 박막 혈압센서
- 전문가 제언
-
○ 혈관 내에 직접 이식 설치된 혈압 센서에 의한 혈압의 연속적인 모니터링은 고혈압 및 그와 관련된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좁은 혈관 내에 안전하게 이식되기 위해서는 크기가 제한 요소로 작용하여 이 기술의 실제 적용에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 이식 혈압 센서는 혈관 벽에 flush mount 방식으로 부착되어 혈류의 흐름에 대한 방해를 최소화 한다. 따라서 이 기술의 핵심은 측면 높이가 낮은 low profile 압력 센서의 개발이며, 이를 위하여 세계적인 센서 기업과 의료전자 관련 전문 연구소들이 신호의 선형성이 좋은 고 감도 low profile 압력 센서 개발에 경쟁적으로 나서고 있다.
○ 혈관 이식형 압력 센서 개발에서 MEMS 기술은 유일한 기술은 아니지만, 주류를 이루는 핵심 기술인 것은 사실이다. MEMS 기술에 바탕을 둔 압력 센서는 압력 감지 소자로서 실리콘을 비롯한 다양한 재료의 다이아프램을 사용한다. 최근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 대학원 연구팀이 발표한 폴리실리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압력 센서는 DNA와 바이오 마커 등 생체 물질 적용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최근에는 전통적인 MEMS 기술을 떠나 새로운 방법을 접목하려는 시도가 나타나고 있다. 한 예로 미국 Stanford 대학 연구팀은 전도성 고분자 물질을 이용한 압력 센서 개발에 성공하였다. 신축성 고분자의 열 팽창에 의한 열잡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신축성 고분자를 이용하고, 이를 수많은 마이크로 구(球)의 집합체로 만들어 신축성을 발생시켰다.
○ 연세 대학교 NanoBio Device Center는 최근 전도성·신축성 섬유를 이용한 압력 센서 개발을 발표하였다. 이 센서의 여러 가지 가능한 용도 중에서 주목을 끄는 것은 wearable 기기와 의료용에 대한 적용이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미세의료연구실과 성균관대학교, 울산공대 등 대학과 연구소에서도 미세압력센서 개발에 노력 중이다. MEMS 기술의 이용도 계속 추구되어야 하겠지만, 다른 창의적인 기술의 시도도 필요하다.
- 저자
- Peter Starr (PhD), Keith Bartels (PhD), C. Mauli Agrawal (PhD),Steven Bailey (MD)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16
- 권(호)
- 248()
- 잡지명
- Sensors and Actuators, A: Physic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38~45
- 분석자
- 은*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