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mRNA 백신 기술의 혁신적 동향

전문가 제언

핵산 백신은 관심 있는 항원을 인코드하는 DNA 또는 RNA를 기반으로 한다. 이들 중 바이러스 벡터, 플라스미드 DNA, RNA 백신에 대한 전임상 및 임상 시험이 가장 많이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DNA 백신은 낮은 면역원성, 바이러스 벡터는 안전성과 벡터 자체의 고유한 면역원성이라는 한계로 아직 상용화에 성공하지 못하고 있다.

 

1990naked 합성 mRNA의 직접 주사는 실용적인 것으로 입증된 후 백신-기반 mRNA는 차세대 백신 개발을 위한 새로운 길을 열었. mRNA 백신은 양호한 항원 잠재력과 면역자극 성질은 물론 안전성, 저비용이라는 이점 때문에 바이러스 벡터 및 DNA 백신의 대안으로 간주되고 있다.

 

해외에서 mRNA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어 특히 지난 10년간 전통적인 비증폭 mRNA 및 자기증폭 mRNA는 초기 임상시험에서 안전하고 잘 관용되며 항원-특이 면역반응을 유발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최근에는 RNA 안정성, 전달감염된 RNA에 대한 항바이러스 반응의 활성화 및 전달 효능과 같은 제한 사항을 해결할 새로운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인체 내에서 RNA의 분해를 극복할 수 있는 박테리오파지 MS2 VLP-기반 RNA가 효율적인 전달방법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국내에서는 B형 및 C형 간염, 조류독감, 대상포진, 대장암, 간암, 전립선암, 자궁경부암, 악성 흑색종 등에 대한 유전자치료제 또는 DNA 백신에 대한 임상시험이 다양한 전달 수단을 이용하여 진행 또는 계획되어 있다. 하지만 인간 mRNA 백신에 대한 기반연구 및 임상개발 활동은 거의 없다. mRNA 백신의 연구개발은 세계적으로 초기 단계이므로 국내 연구진들이 도전할 가치가 있다.

 

최근 mRNA 기반 백신이 바이러스 벡터 및 플라스미드 DNA 백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mRNA는 재래 방법으로 생산되고 정제될 수 있으며 비-바이러스 기술로도 전달될 수 있다. 이 리뷰는 RNA에 초점을 맞춰 최근 몇 년간 발표된 주요 논문을 요약하여 핵산 백신의 개념과 미래 전망을 소개하고 있다.

저자
Jeffrey B Ulmer and Andrew J Geal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6
권(호)
41()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Immu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8~22
분석자
차*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