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강관 삽입 콘크리트 표적의 탄도 충격 반응

전문가 제언

세계 각국에서는 최근 수요를 개척 콘크리트의 고성능 및 고강도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종전 대비 두 배 정도(일본 600800kgf /cm2)의 압축강도를 가지고 있는 콘크리트도 개발 운용 되고, 미국,캐나다,일본,영국등의 국가에서는 이를 적용한 마이크로 및 매크로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code적용을 통한 실제 적용단계에 이르고 있다.

 

콘크리트를 구속시켜 구조물을 구성한 경우 분명 일반 반-무한 콘크리트보다는 내 관통성이 우수하기는 하지만, 이의 유지관리 측면에서 모니터링도, 특히 일본의 경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미국의 경우 초보단계로, 장 단기적 모니텅링 기법 측면과 연계 및 요소기술 측면에서 아직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을 중심으로 카이스트,서울대 등 각대학에서 콘크리트의 고강도화와 고성능화를 위해 일찌기 1990년 초부터 연구를 시작, 최근에는 일종의 하이브리드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일종인 콘크리트 내부에 강연선 케이블을 넣은 PRC(PreStress Concrete)을 적용하여 많은 구조물을 건설 운용 중에 있다.

우리나라는 북한의 지속적인 미사일등의 발사 등 위협 아래 이와 아주 근거리에 세계 유수의 핵발전소를 건설 운용중인 국가로 콘크리트의 고강도화 및 하이브리드화를 통해서 이러한 국가중요시설물 특히 구조물 벽에 대해 적의 최신 위협을 감안 내 관통성능을 증대시켜야 할 위치에 있다. 155마일 휴전선등에 걸쳐 이미 건설되어 운용중인 군의 적전(敵前) 참호등도 이러한 관점에서 재검토, 콘크리트의 고성능화는 물론 강 튜브에 구속시킨 고성능 콘크리트의 내 관통성능에 대해서도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고, 점차적으로 적용시키는 것이 시작되어야한다.

 

저자
FanWan, Zhigang Jiang, Qinghua Tan, Yangyueye Cao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6
권(호)
94()
잡지명
International Journal of impact engineering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50~59
분석자
허*무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