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2016년 새로운 아크용접 재료와 시공기술(2016 일본 국제 웰딩 쇼 기록)

전문가 제언

용접기술은 모든 제조업의 기반기술로 고능률, 고품질의 용접부를 얻는 것이 지향점이다. 세계 각국의 용접관련 메이커들은 고능률, 고품질의 용접부를 얻기 위해 각종 용접기기, 용접재료, 시공면에서 혁신적인 기술개발을 계속하고 이러한 결과들이 매년 세계 각국에서 열리고 있는 용접전시회를 통해 발표되고 있다.

본문에서는 2016년 4월 13일부터 16일까지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국제 용접전시회에서 전시 시연된 아크용접재료와 시공기술을 소개한 내용으로, 조선 및 교량분야, 용접 자동화 기기분야, 자동차분야, 건축 철골분야로 나누어 2016년에 새롭게 선보인 아크용접 관련 기술들을 소개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조선 해양 기자재산업, 각종 플랜트 산업 등에서 용접기술의 글로벌 소비시장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국제 용접전시회가 매년 1,2회 부산과 인천, 창원 등지애서 열리고 있다. 이 전시회에서 국산 아크용접 재료는 세계적인 평가를 받고 있으나 아크용접기기를 비롯한 자동화 기술, 로봇화 기술, 레이저 용접 기술면에서는 외국의 저명 메이커들과의 경쟁력강화를 위해 많은 투자와 기술개발 노력이 필요하다.

일본에서는 조선, 해양구조물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용접작업 능률 개선을 위해 CO2 자동용접의 적용확대, 로봇 채용, 강화되고 있는 규칙대응 용접재료, 피로강도 개선의 피닝 공정, 스프레이 이행형 CO2 가스아크 용접법의 적용, 4전극 FCBTM법, TRIFARCTM법과 같은 고능률용접법의 적용확대, 레이저-아크 하이브리드용접이나 FSW용접법의 대형 LNG선 적용을 위한 검토 등 활발한 실용화 노력과 연구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국내의 조선, 해양기자재 산업 현장에서는 용접공정의 고능률화와 용접품질의 고도화를 위한 기술이 간과되고 있는 경향에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각종 고능률, 저비용의 신 용접법의 과감한 현장 채용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

저자
SHIMIZU H.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6
권(호)
64(6)
잡지명
溶接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40~46
분석자
김*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