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보충제용 바이오활성성분의 새로운 공급원으로서 미세조류
- 전문가 제언
-
?전문가 제언?
○ 조류(algae)는 해수조류와 담수조류로 구별되며 형태적으로는 미세조류와 거대조류로 분류된다. 미세조류는 광합성 단세포생물로 이산화탄소, 물,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탄수화물, 지질, 단백질 등의 유기물을 합성한다. 광합성 미세조류는 식품, 사료, 의약품, 화장품, 바이오디젤의 공급원료 생산자로 매우 중요하다.
○ 미세조류의 유용한 바이오활성화합물을 고농도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미세조류의 배양조건과 환경스트레스를 변경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리뷰에서는 미세조류의 생명공학, 미세조류 유래 바이오활성물질, 미세조류 바이오매스의 응용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검토된 미세조류는 Spirulina, Botryococcus, Chlorella, Dunaliella, Nostoc, Haematococcus속이다.
○ 미세조류는 기능성식품 보충제는 물론 뉴트라슈티컬, 화장품. 의약품으로 이용 가능한 바이오활성성분의 공급원이다. Spirulina와 Chlorella는 주로 식품보충제와 영양제로 사용되며 Dunaliella salina는 베타카로틴, Haematococcus pluvialis는 아스타잔틴, Phaeodactylum tricornutum은 EPA, Crypthecodinium cohnii와 Schizochytrium mangrovei는 DHA를 생산한다.
○ 최근 국내연구는 탈지미세조류의 폴리페놀생산 증대를 위한 열수추출조건 최적화(최강훈 등 2016), 당화 도토리전분이 미세조류 바이오매스 증식과 바이오오일 함량에 미치는 영향(최희정, 이정민 2016), 미세조류와 해조류 유주자의 피막화를 통한 생장, 생존율 연구(정상목 등 2016), 빛의 조사기간에 따른 미세조류의 지질함량변화와 균체의 당화전환율 비교(임수빈 등 2015) 등 다양하다.
○ 미세조류의 바이오매스 이용과 유용물질생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경제성이다. 앞으로 미세조류 바이오매스와 바이오활성화합물을 다양한 분야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바이오활성물질생산 미세조류의 확보, 대량생산, 농축 및 정제, 기능성 및 효능평가 등 체계적인 연구와 연구기관간의 협동연구가 필요하다.
- 저자
- Bruna da Silva Vaz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6
- 권(호)
- 7()
- 잡지명
- Current Opinion in Food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73~77
- 분석자
- 민*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