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 고성능 섬유보강 콘크리트와 장갑용강 이중층 표적에 대한 철갑탄의 관통
- 전문가 제언
-
○ 세계 각국에서는 최근 수요를 개척 콘크리트의 고성능 및 고강도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종전 대비 두 배 정도(일본 600~800kgf /cm2)의 압축강도를 가지고 있는 콘크리트도 개발 운용 되고, 미국,캐나다,일본,영국등의 국가에서는 이를 적용한 마이크로 및 매크로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code적용을 통한 실제 적용단계에 이르고 있으나, 철 섬유보강 콘크리트와 장갑용강을 두 개의 층으로 적층, 복합장갑을 구성 내 관통성을 평가하는 일은 새로운 시도이다.
○ 철 섬유 보강콘크리트에 장갑용 강판을 붙여서 관통성능이 늘어날 것이냐? 하는 개념은 압축강도가 높은 세라믹과 장갑용강의 높은 성형성과 인성을 결합시키는 개념의 일부분으로 이미 시도된 생각인데, 여기에서 특이점은 고강도 콘크리트에 철 섬유를 보강하여 세라믹 부분을 강화한다는 점이다. 최종 결과는 아직 미지수이나 철 섬유 보강콘크리트의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점으로 미루어 더 많은 연구가 이뤄질 가치가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을 중심으로 카이스트,서울대 등 각대학에서 콘크리트의 고강도화와 고성능화를 위해 일찌기 1990년 초부터 연구를 시작, 최근에는 일종의 하이브리드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일종인 콘크리트 내부에 강연선 케이블을 넣은 PRC(PreStress Concrete)을 적용하여 많은 구조물을 건설 운용 중에 있다.
○ 높은 압축 강도의 세라믹과 강의 성형성을 결합한 개념은 K1전차의 SAP(Special Armour Package:특수장갑)로 운용중이다. 국가중요시설물 특히 구조물 벽에 대해 적의 최신 위협을 감안 내 관통성능을 증대시켜야 할 시점에 있고, 군의 적전(敵前) 참호등도 이러한 관점에서 재검토, 콘크리트를 강 튜브에 구속시킨 고성능 콘크리트의 내 관통성능도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지만, 나아가서 철 섬유보강콘크리트에 강장갑을 붙인 형태의 이중층 장갑도 연구 가치가 충분히 있다.
- 저자
- Jun Feng ,Weiwei Sun, Zhilin Liu, Chong Cui, Xiaoming Wang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6
- 권(호)
- 102()
- 잡지명
- Materials & Desig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31~141
- 분석자
- 허*무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