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도만능줄기세포(iPSCs) 제작에서의 재프로그래밍에 관한 분자적 기작
- 전문가 제언
-
○ 2006년 Takahashi와 Yamanaka에 의해 처음으로 유도만능 줄기세포(iPSCs)가 발표된 이래 재 프로그래밍 기술들에 관한 깊이 있고 빠른 발전들이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실제적인 재생의학에의 응용면에서 많은 문제점들이 야기되고 있다.
○ 이것은 그 과정과 영향들에 대한 분자적 기초들에 대해 아직도 완전히 이해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연구들에서 “선구적 전사인자들(Pioneer TFs)”이라고 부르는 소집단들이 iPSC 재 프로그래밍의 확률적 단계 동안의 중요한 역할을 함이 제시되고 있다.
○ 연구자들은 iPSCs의 기반인 재 프로그래밍 기작과 관련된 소위 “Yamanaka 인자들”을 대체할 수 있는 수많은 인자들 중 특히 염색질 변형자로 작용하는 선구적 TFs에 의한 cis-재 프로그래밍 기작을 설명하고, 이것이 일반 TF에 의한 노출된 프로모터 서열들에 직접 결합하는 트랜스(trans)-재 프로그래밍과 함께 체세포에서 iPSCs로 재 프로그래밍 될 때 중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 또한 cis- 와 trans-재 프로그래밍 사건들은 계열전환이 독점적일 필요는 없고, cis- 와 trans-재 프로그래밍 사건들은 단계적으로 또는 동시에 일어나며, 아직도 밝혀져 있지 않은 보조인자들이 재 프로그래밍 인자들의 결합과 전사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서로 다른 세포형에서 서로 다른 수준으로 발현되는 것 같음을 강조하고 있다.
○ 결론적으로 iPSCs의 재생의학 적용의 성공을 위해서는 재 프로그래밍은 “iPSCs 제작”뿐 아니라 그 과정에 깔려있는 분자적 기작들의 고려가 우선되어야 함이 중요하며, 이 경우 시스와 트랜스 재 프로그래밍이 단독 또는 합동으로 작동되는 가를 고려해야만 하겠다는 것이다. 국내의 줄기세포 및 재생의학 관련 연구자들에게 이 리뷰는 개발전략에 좋은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 저자
- Marie N. Krause, Ignacio Sancho-Martinez, Juan Carlos Izpisua Belmonte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6
- 권(호)
- 473()
- 잡지명
-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693~697
- 분석자
- 강*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