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돼지고기의 항산화 활성과 혈압강하 활성

전문가 제언

이 연구는 토종 돼지 Suino Nero Lucano(SNL)와 현대 교배 돼지(modern crossbred, CG)의 조리 이전과 이후 그리고 체외 소화된 배 측 최장근의 항산화 및 항고혈압 활성을 평가하고 비교한 것이다.

 

토종 SNL 돼지고기는 사람의 건강에 잠재적으로 유익한 생리학적 효과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교배 CG 고기에 비해 높은 영양보조식품의 품질을 보여주는 이 연구결과는 특정 토종 돼지고기는 항산화 및 항고혈압 펩티드의 좋은 공급원으로 기능성 식품으로 간주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항산화 작용을 하는 식품은 주로 식물성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의 카로테노이드류(베타카로틴, 라이코펜, 루테인), 플라보노이드류(안토시아닌, 카테킨, 레스베라트롤, 프로안토시아니딘), 이소플라본류(제니스테인, 다이드제인), 수산기를 2개 이상 갖는 폴리페놀 등이지만 이 연구에서는 동물성 펩티드에서 찾고 있다.

 

국내 관련 연구로는 2006년 김 등은 전복(Haliotisdiscushannai) 추 출물의 혈압강하, 항산화 능 및 항혈전 능에 대한 invitro 효과가 있을 뿐 대부분 식물성 식품이나 약제 등에 관한 연구이다. 2009년 황 등은 청국장의 항산화 및 혈압강하 효과에서 평균혈압이 14mmHg 떨어졌고, 이완기 혈압은 8mmHg 떨어지는 등 혈압강하 효과가 뚜렷하였다.

 

강력한 반응물질인 활성산소는 동맥경화나 뇌·심장혈 관계 장애, 노화나 발암에 관여한다는 사실이 밝혀져 기존의 항산화제 외에 경구적으로 섭취하는 항산화 물질의 효능 등이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

 

우리 국민은 돼지고기를 연간 1,050천 톤을 소비하고 있으며 이는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 연구에서 밝히는 영양 생리학적 관점에서 돼지고기의 항산화 활성과 혈압강하 활성에 관한 연구는 지금까지 돼지고기의 많은 속설을 해소할 수 있는 대단히 신선한 연구이다. 국내 토종돼지고기에 대해서도 이런 연구가 시급하다 하겠다

저자
Amalia Simonetti , Emilio Gambacorta, Annamaria Pern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6
권(호)
212()
잡지명
Food Chemi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590~595
분석자
김*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