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정량 PCR을 이용한 유전자변형 포도주 효모 균주의 검출방법

전문가 제언

포도 주스와 포도주(와인)의 차이는, 포도주에는 포도에 있는 당을 알코올과 이산화탄소로 발효하는 효모가 작용하였기 때문이다. 포도에 당이 많을수록 포도주의 알코올 농도는 올라간다. 포도주 양조에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효모는 Saccharomyces cerevisiae로 가장 예측가능하고 활발한 발효 능력을 가지고, 높은 농도의 알코올과 이산화황에 대항해, pH 2.84 사이의 정상 포도주에서 번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세계적으로 와인 생산 국가는 생산량 기준으로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미국, 아르헨티나의 순서이고, 와인 수출 국가는 시장 점유율 기준으로 프랑스, 이탈리아, 호주, 스페인, 칠레의 순서이며, 와인 소비 국가는 일인당 소비량을 리터로 환산한 값을 기준으로 프랑스, 포르트갈, 이탈리아, 크로아티아, 안도라의 순서이다.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중국이 유일하게 생산량 기준으로 6위이다. 개인적인 생각은 와인의 판매가격을 기준으로 하면 한국이 몇째 안에 들어갈 가능성이 있다.

 

와인 양조공정에서 유전자변형(GM) 효모 균주 ML01ECMo012 균주가 지난 몇 년 동안 사용가능하였다. ML01은 발효과정에서 말산을 유산으로 전환하는 대사경로를, ECMo01은 카르바메이트 생산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실제로 ML01 균주는 미국, 캐나다, 몰도바에서 사용인가가 나왔고, ECMo01의 경우 미국과 캐나다에서 인가가 나왔다. 와인생산 국가 중에서 이 밖의 나라에서는 이들 GM의 사용이 허락되지 않고 있다. 특히 유럽연합은 엄격한 규정으로 이를 불허한다.

 

그러므로 이들 GM 효모 균주들의 사용이 허가되지 않은 EU 국가 등에서는 그들이 소비하는 와인에 GM 균주의 존재 여부가 상당히 심각한 관심사이다. 이 연구는 정량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quantitative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활성건조효모(ADY)에서 GM ML01 S. cerevisiae0.005%(질량/질량) 까지 신뢰성 있게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한 것이다.

 

저자
Vandono, E,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6
권(호)
234()
잡지명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Micro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5~23
분석자
강*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