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변형식품의 사회적 납득
- 전문가 제언
-
○ 사회적 납득(Social Representation)은 사회의 그룹이나 공동체 멤버들이 같이 나누는 가치, 관념, 은유, 신념, 실행 등의 토대이다. 사회적 납득이론(Social Representation Theory, SRT)은 사회심리학 분야 안에 있는 이론적 조직체이다. SRT는 1961년에 프랑스의 Serge Moscovici가 심리분석의 수용과 유포에 관한 연구에서 처음 만들어낸 단어이다. 이는 공동체가 그 행동과 교신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적 목표를 합성하는 것이다. Moscovici는 어떻게 과학적인 이론들이 상식범위 안에서 유포되는지, 또 이런 이론들이 일반 대중에 의하여 언급될 때 이들 이론에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를 연구한 것이다.
○ 이 분석에서는 유전자변형식품(GMF)과 관련된 SRT를 찾아내기 위하여 ‘집단적 주제의견 교환(Collective Subject Discourse, CSD)’ 기술을 사용한 설문조사를 실행하였다. CSD는 다음 3가지 단계를 거친다. 첫째는 주요 표현의 확인이다. 이는 개개인의 언어에서 본질을 하나로 모은 발췌를 선발하는 것이고, 둘째는 중심 사상에서 주요 표현들을 분류하는 것이다. 중심 사상이란 주요 표현의 의미를 정확하고 간단하게 서술하는 언어적 표현이다. 셋째는 ‘정박(anchors)’의 확인이다. 정박은 특정한 내용, 이론, 신념, 가치, 의식 등을 명시하거나 잠재해 있는 아이디어를 표현하는 개개인의 담화에 대한 일반적인 진술이다.
○ 이 연구는 Campinas라고 부르는 브라질에서 11번째로 큰, 인구 백만 명을 조금 넘는, 98%의 인구가 시내에 살고 있는 도시에서 남자 24명, 여자 24명 모두 48명을 선발하여 인터뷰한 것을 분석한 것이다. 이 분석에는 Qualiquantisoftⓡ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다.
○ 한국식품산업협회는 식품산업의 발전 및 식품제조업체 간의 상호이익 및 식품위생 향상 도모를 통한 국민보건을 목표로 2008년 GMO 공론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일반 대중들이 GMO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하고난 후, 또 사회적 논의 과정을 거치고난 후, GMO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조사한 연구이다.
- 저자
- Ribeiro, T, G,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6
- 권(호)
- 84()
- 잡지명
- Food Research Internatio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20~127
- 분석자
- 강*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