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마이크로 또는 나노기술을 이용한 흡착세포로의 전달

전문가 제언

본 총설은 세포가 어떤 환경과 접해 있을 때 타깃 세포 하나에 중점을 두어 세포의 여러 가지 생물학적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는 가정 하에 나노수준에서 관찰하기 위한 여러 가지 탐색 방법의 설계 및 결과의 고찰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관련 디바이스가 세포의 생장과 분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관측 범위를 나노 수준으로 최소화 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 레뷰는 지금까지 개발되어 있는 나노기술을 생물학 연구에 접목시키느냐의 방법에 관한 주제로서, 먼저 단 하나의 타깃 세포 내에 접근해서 목표 물질을 세포 내로 주입한 후 그 세포를 관찰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의 개발 현황을 소개하고 있다.

 

살아 있는 세포는 항상 세포막 전위가 걸려있다. 여기에서 제시하는 전달 방법에서는 이미 알려져 있는 전기 천공법에서와 유사하게 외부 전기장을 단 하나 세포막의 좁은 부위에 국지적 전압을 가하여 나노게이팅을 시키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이 레뷰에서 소개된 내용 중에 돋보이는 내용은 마이크로유체디바이스의 경우 세포막의 기계적 천공 없이 나노 팁을 이용한 국지 외부전장에 의한 게이팅 방법이다.

 

진핵세포 내에는 많은 소기관이 있다. 본 레뷰가 다루고 있는 내용에서는 외부전기장이 세포 내 소기관, 세포 내 거대분자의 거동에의 영향, 막분자들의 종적 횡적 운동 및 그에 따른 생리적 영향 등에 관한 내용은 포함하고 있지 않다. 특히 고전기장에서는 큰 영향이 기대되는 만큼 이 점에 염두 할 필요가 있다. 고전기장 나노디바이스 시스템 연구에는 생화학, 분자생물학 관련 동반 연구가 필히 요구된다.

 

앞으로의 기대되는 연구로는 세포의 생장 및 분화 등이 나노디바이스에 세포 접근 및 분석 모듈, 바이오 센싱. 세포조작 모듈, 시스템생물학 관련 모듈 등이 모두 장착된 All in One 디바이스를 목표로 나노연구가 진행될 것으로 기대한다.

 

 

저자
Wonmo Kang, Rebecca L. McNaughton, Horacio D. Espinos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6
권(호)
34(8)
잡지명
Trends in Bio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665~678
분석자
윤*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