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 유행 지카바이러스의 유전체 특성과 계통유전학적 분석
- 전문가 제언
-
?전문가 제언?
○ 지카바이러스는 남미를 위주로 다수의 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와 동시에 많은 소두증 환자의 발생과 브라질의 리오올림픽 행사를 맞이하여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2016년 6월 21일 현재, 279명의 감염자가 집계되었으며 이 중에서 157명은 미국 본토에서, 나며지는 해외 미국령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발표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6년 7월 10일 현재 감염확인자는 총 7명으로서 모두 해외에서 감염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국 내외에서 지카바이러스에 대한 효율적인 대책이 요구된다.
○ 소개하는 레뷰는 중국의 미생물역학연구소 소속 연구원 등이 현재 GenBank에 저장된 58개주의 남미 모기에서 분리된 플라비바이러스를 유전체 서열 분석하여 우리나라에서 유행하는 일본뇌염 바이러스 등 다른 플라비 바이러스와의 유사성을 비교 분석한 최근의 자료를 정리하여 제시고 있다.
○ 남미의 모기에서 분리된 지카바이러스들은 플라비 바이러스 중에서도 유전자서열 및 단백질 구성에서 Spondweni virus(SPOV)와 가장 가까운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황열바이러스와 거리가 가장 먼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유행하는 일본뇌염바이러스와는 58∼60%의 유전자 서열 동일성을 보이었다. 이는 지카바이러스가 우리나라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Culex species 모기들에 적응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어 이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 우리 정부에서도 지카 바이러스 관련 생물학적 제품개발을 위한 연구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진단제와 백신을 개발하려면 가장 중요한 당면과제가 바이러스의 유전체 및 병원성 관련 항원 구조의 규명에 있다. 이 레뷰에서는 지카 바이러스의 병원성, 유전체 및 단백질 특성 등에 대한 주요 관심 정보를 분석하여 주요 결과를 소개하고 있다. 따라서 직접적인 연구 사업 수행 당사자는 물론 관련 분야에 관심을 가진 관계인에게도 이용 가치가 큰 자료로 평가된다.
- 저자
- Qing Ye, Zhong-Yu Liu, Jian-Feng Han, Tao Jiang, Xiao-Feng Li, Cheng-Feng Qin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6
- 권(호)
- 43()
- 잡지명
- Infection, Genetics and Evolu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43~49
- 분석자
- 신*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