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베트고원 광합성유효복사의 시공간적 변화연구
- 전문가 제언
-
○ 광합성유효복사(PAR)는 식물의 광합성작용을 효과적으로 유발할 수 있는 400~700nm파장대역의 복사에너지로서, 식물의 생육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광합성모사, 식물생육예측모델과 생태계와 대기간의 상호작용 등 여러 분야의 중요한 입력모수로 이용되고 있다. 이론적 최대 광합성생산성은 20.9MJ/㎡.day로서 PAR의 12%정도이며, 보통 PAR는 전천 일사(Rs)의 45%정도이며 지역적 기상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 세계적으로 FLUXNET, BSRN과 미국의 SURFRAD, 중국의 CERN 등 몇몇 관측연구네트워크를 제외하고는 아직 PAR를 정규관측하지 않고, 대부분 전천 일사(Rs), 일조시간, 청명지수(Kt)와 상대습도 등 정규기상관측 자료와 위성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PAR예측모델로 산정한다.
○ 반 건조지역인 몽고초원에서 Rs, Kt, 수증기와 에어로졸농도의 현장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PAR예측모델링 한 결과, 일간평균PAR/Rs비는 수증기압과는 긍정적, Kt와는 부정적 관계였다. 구름이 많거나 상대습도가 높으면 수증기는 근적외선에서 Rs를 거의 흡수하고, PAR는 거의 투과하므로 PAR/Rs비는 증가하고, 에어로졸은 Rs를 산란, 흡수하므로 농도가 많을수록 PAR/Rs비는 낮아진다.
○ 본문은 중국에서 PAR가 가장 많은 티베트고원(TP)의 1961년 이후 50년간 PAR의 변화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5년부터 10년간 지상 관측한 Rs, RH, Kt와 일조시간의 자료를 이용하여 PAR예측모델을 개발하여, 50년간 관측한 기상자료로 재설정하여 일별PAR를 산출하고 장기간 변화경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중국전체 PAR의 평균 시공간적 변화경향과 다르게 지역의 기후특성과 강수량 변화추세와 비슷하게 PAR의 변화경향이 나타났다.
○ 최근 독도의 소청초과학기지에서 현장 관측한 PAR자료를 천리안의 GOCI에 의한 PAR자료와 극궤도위성의 MODIS에 의한 자료를 비교분석한 결과 GOCI자료가 MODIS자료보다 더 우수하였다. 앞으로 보다 많은 GOCI자료를 활용한 전국적 일별PAR자료가 제공되면 NPP와 온실재배 등 농수산물의 생육연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 저자
- Bo Hu, Hui Liu, Yuesi Wang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6
- 권(호)
- 55()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40~248
- 분석자
- 박*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