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초의 생물학적 방제에 미치는 방제제의 배양결과 및 방출 규모의 영향
- 전문가 제언
-
○ 잡초로 인한 농산물의 감소는 전 세계적으로 약 5억 톤이며, 조 등 3작물이 15∼18%, 쌀 밀 등 10작물과 채소가 8∼13%, 감자 및 과수 등이 2% 이하로 알려져 있는데, 방제 방법에는 생태적 방제, 물리적 방제, 화학적 방제 및 생물학적 방제 등이 있다. 최근에는 화학적 방제에 의한 환경적 피해와 사람 및 동물에 대한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어서 물리적, 경종적, 화학적, 생물학적, 기계적인 방제기술을 연계하여 실시하는 종합적 방제 기술이 도입되어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 잡초의 생물학적 방제는 특정 생물을 이용하여 잡초를 방제하는 기술로 생물적 제초제, 미생물 제초제, 천적 등을 이용하고 있으며 환경에 잘 적응하고 다른 생물에 대한 적응성, 공존 능력, 저항성 등이 있어야 한다. 천적을 이용한 잡초의 생물학적 방제는 방제재가 비산 또는 분산하는 능력이 크고, 인공적으로 배양 또는 증식이 용이하며 생식력이 강하여야하는데 인공적으로 대량 증식한 천적 생물을 현장에 집중적으로 방출하여야 한다.
○ 국내에서 논 잡초는 34과 119종, 밭 잡초는 48과 301종, 논과 밭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잡초는 11과 39종이 있으며 밭보다는 논에 생물학적 방제인 소 동물, 어폐류, 천적 생물 등을 이용하고 있다. 논 잡초의 방제에 사용되는 생물에는 오리, 새우 참게, 우렁이 등과 잉어, 붕어 흑색 달팽이 초어 등의 어패류, 돌소리 쟁이 풀을 먹고사는 종남색 잎벌래, 고추나무 속을 먹는 무구 풍뎅이 등이 있는데, 최근에 활용하고 있는 긴꼬리 투구새우의 경우 30마리/m2로 논 잡초 방제가 가능하였다.
○ 생물학적 방제를 위한 외래천적의 도입은 생태계 교란 등 환경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어 국민적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데 최근에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많은 국가가 관련 규제 법안을 만들거나 기준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국내에서 현재까지 150여종의 생물학적 방제 제재가 연구되고 있는데 45종이 상업화되었으며, 30종정도가 온실에서 이용되고 있는데 외래 천적의 도입보다는 국내에 자생하는 천적생물을 우선적으로 선별하고 현장에 적용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Quentin Paynter, Simon V. Fowler, Allan Hugh Gourlay, Paul G. Peterson, Lindsay A. Smith, Chris J. Winks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6
- 권(호)
- 101()
- 잡지명
- Biological Contro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87~93
- 분석자
- 황*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