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피룰리나 해조 된장
- 전문가 제언
-
○ 스피룰리나(Spirulina, Arthrospira)는 사상형의 단세포성 남조류(blue-green algae)로 아프리카, 아시아, 남아메리카, 유럽 등에 분포하며, 열대·아열대 지역의 해수와 염도가 높고 강한 알칼리성 환경에서 잘 자란다. Spirulina의 상업적 대량생산은 1970년부터 멕시코에서 옥외 배양이 시작되었고, 태국, 일본, 이스라엘, 미국, 대만, 인도, 중국 등에서 배양 생산되고 있다.
○ 스피룰리나의 구성성분은 단백질 60∼70%, 지질 6∼9%, 탄수화물 15∼20%, 비타민·무기질·섬유소 등을 함유하고 있다. 특히 vitamin B12, β-carotene, 필수아미노산과 필수지방산인 리놀렌산, 감마리놀렌산도 다량 함유하여 혈액순환과 면역강화제로서 유용하며, phycocyanin, myxoxanthophyl, zeaxanthin 등 색소는 항산화 식품첨가물로 이용된다.
○ FDA, WHO, FAO 등에서 안전성을 인정하였고, 러시아에서는 방사능 치료약으로 특허를 받기도 하였다. 최근 애완동물용, 양식사료 첨가제, 건강보조식품 등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세포벽은 셀룰로오스가 없으므로 소화흡수율이 95%이상으로 소화가 잘 되는 장점이 있다.
○ 콩된장에는 항산화물질인 o-dihydroxyisoflavone(8-hydroxydaidzein, 8- hydroxygenistein, 6-hydroxydaidzein)을 함유하고 있어 30℃ 9개월 저장에서도 daidzein과 genistein처럼 분해·감소되지 않고 된장국이나 된장찌개 등 가열 조리에서도 안정하다. 본고는 콩된장에 스피룰리나의 항암, 면역부활, 항염증작용 등 기능성을 부가한 해조 콩된장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 Spirulina 관련 국내 연구로는 Spirulina platensis의 옥외배양 최적화 및 오염생물 구제(김충재 등, 2006), Cyanobacteria를 이용한 CO2 고정화 및 고부가 생물제품화 기술개발(오희목, 2008) 등이 있으며 특허 제품도 생산되고 있다.
○ 지구온난화 영향으로 아열대성 기후로 변화하고 있는 한반도의 여건을 고려하여 조류의 유용성을 이용한 연구로서 최근 환경문제로 대두된 녹조류의 이용방안에 대한 연구개발을 기대해 본다.
- 저자
- Sakaki Setsuko,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6
- 권(호)
- 58(1)
- 잡지명
- New Food Indust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82~88
- 분석자
- 최*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