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폐수의 잠재적인 처리를 위한 정삼투공정과 응고/응집방법의 결합
- 전문가 제언
-
?전문가 제언?
○ 섬유폐수는 다양한 염료, 전해질, 광유, 부유물질 등을 함유하여 가장 오염적인 폐수의 하나로 밝혀짐에 따라 섬유폐수를 처리, 재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큰 주목을 받아왔다. “섬유폐수의 잠재적 처리를 위한 정삼투공정과 응고/응집 방법의 결합”을 주제로 하는 본 연구는 섬유폐수의 처리와 재이용을 위해 정삼투공정과 응고/응집방법이 결합된 혼합 정삼투-응고/응집시스템의 적용가능성을 실험적으로 조사한다.
○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정삼투-응고/응집 혼합시스템이 높은 물투과량 및 회수율, 잘 통제된 막 오염, 높은 효율과 최소환경영향을 지닌 독특한 장점을 보이며, 정삼투는 폐수를 탈수처리하고 응고/응집은 응고/응집제의 적은 투여량으로 95% 이상의 염료제거를 실현할 수 있었음이 제시되고 있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새롭게 개발된 정삼투-응고/응집혼합공정이 섬유폐수의 효과적인 처리와 재이용을 위한 대체기술의 새로운 탐색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는 것이 강조된다.
○ 섬유폐수의 처리와 재이용을 위해 정삼투공정과 응고/응집방법이 결합된 혼합정삼투-응고/응집시스템에서 정삼투는 물투과량 및 회수가 높으면서 적은 에너지 소비 및 낮은 막오염으로 섬유폐수를 탈수, 처리함으로써 그 용적과 오염을 줄이고, 응고/응집은 높은 염료제거율, 적은 화학약품 사용량과 최소한의 환경 영향으로 농축된 정삼투용액으로부터 염료침전 및 제거에 적용되어 ?과적인 섬유폐수의 처리 및 재이용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 현재 섬유폐수를 처리하는 방법에는 화학적, 물리화학적, 생물학적 방법과 여과공정 등이 포함되나 완전한 탈색이 어렵고 한계를 지닌다. 우리나라에서는 섬유폐수를 고도로 저리하는 단계에 이르지 못하고, 재래적인 방법이 단독이나 병합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나 그 효과나 적용기술이 선진국 수준에 이르지 못하고 있으며 유기오염물질이나 염료의 제거효율이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섬유폐수의 처리 및 재이용과 염료제거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정삼투-응고/응집 병합시스템의 적용 연구가 촉진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정책지원조치가 필요하다.
- 저자
- Gang Han, Can-Zeng Liang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91()
- 잡지명
- Water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61~370
- 분석자
- 장*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