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고온입계균열
- 전문가 제언
-
?전문가 제언?
○ 본 해설은 TP347H 내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파단형태와 강의 결정립크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입계균열이 나타나는 강에서 파괴에 요하는 시간은 유황 함유량이 높은 강에서 오히려 더 길어진다. 이러한 현상은 기지내부에 생긴 MnS 부정합 석출물 때문이며, 이것의 계면은 결정립계에 대한 무 유황 편석의 강력한 싱크(sink)로 작용하게 된다. 파괴까지 소요되는 시간과 파괴형태는 유황의 평형 결정립계 편석농도, 크립 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립크기 및 유황 함유량의 조합에 의하여 결정된다.
○ 유황함유량에 상관없이 보다 작은 결정립 크기를 갖는 TP347H내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파단시험 후 연성파괴를 나타내는 반면, 결정 입자크기가 큰 강에서는 전형적인 입계균열을 나타낸다. 입계균열은 결정립계에서 주로 유황편석 때문에 발생하며, 7ppm의 대단히 낮은 유황 함유량에서 조차도 억제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적열취성의 원인이 되는 강 중에 함유되어 있는 유황은 쾌삭강에서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 이외에는 강에서 백해무익한 원소로 알려져 있다. 특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과 같은 고급강에서는 소량의 함유량으로서도 강의 성질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강의 결정립크기에 따라 기계적 성질, 열처리특성 등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강의 결정립크기와 결정립계에 존재하는 유황의 존재에 대한 연구는 자동차산업 등의 발달에 따른 필연적인 연구로 국내외를 막론하고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 강 제품을 사용 도중에 발생하는 피로파괴 등과 같은 파괴현상은 크게 입계파괴와 입내파괴로 나눌 수 있으며, 이러한 파괴에 대한 역학적인 연구는 강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금속재료의 발달을 위해서는 앞으로도 계속 연구가 이루져야 할 유망한 분야로 평가된다.
- 저자
- Nam Hoe HEO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6
- 권(호)
- 56(6)
- 잡지명
- 素形材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091~1096
- 분석자
- 김*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