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저 백신의 합리적 설계: 탄저균 보호항원의 중화항체와 기능 매핑
- 전문가 제언
-
○ 탄저균은 치사력이 매우 높고 내생포자를 형성하는 대표적 생물학무기이기 때문에 적극적인 대처방안이 요구된다. 탄저 예방백신으로는 러시아가 약독화생백신을 채택하고 있는 반면 미국에서는 노출전 또는 노출후 예방 목적으로 현재 AVA(Anthrax Vaccine Adsorbed) 백신을 군사용으로 채택하고 있다. 2012년 미국 FDA는 흡입 탄저의 치료를 위해 PA에 대한 첫 인간 단클론항체인 Abthrax(Raxibacumab)를 허가하였다. Abthrax는 PA 도메인 VI에 결합하며 수용체 결합을 차단한다.
○ 탄저균이 지닌 플라스미드 pXO1 및 pXO2는 완전한 발병력을 위해 필수적이다. pXO1 플라스미드는 3개의 발병인자를 인코드한다: Protective Antigen(PA), Lethal Factor(LF) 및 Edema Factor(EF). 이러한 발병인자들은 LF-PA, EF-LF와 같이 서로 결합해서 독성을 발휘한다. 탄저 백신은 주로 PA 항원에 의존하여 개발되고 있다.
○ 해외에서 탄저백신 연구는 주로 미국 국방부를 위주로 이뤄져 왔다. 미국은 현재 채택하고 있는 AVA 백신의 번거로운 접종 스케줄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차세대 탄저백신의 연구개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이에는 더 정의된 재조합 PA-기반 탄저 백신, 탄저균 및 몇몇 생물학작용제를 동시에 예방할 수 있는 다가 DNA 백신, 유전자 조작 탄저균에 대비한 포자항원 백신, 식물에서 발현된 PA를 기반으로 한 경구용 백신 등이 해당된다.
○ 우리나라에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인체용 탄저백신들은 약독화생백신이거나 PA 성분을 탄저균이 아닌 다른 균종을 이용하여 발현하는 시스템으로 탄저백신의 연구개발 범위는 미국에 비해 매우 좁다.
○ PA는 면역치료제 및 백신을 합리적으로 설계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많은 중화항체 항원결정기와 기능성 지역을 함유한다. 이 리뷰에서는 합리적으로 설계된 백신은 잠재적 PA 돌연변이 탄저균에 대해서도 완전한 면역반응을 유발할 수 있도록 PA의 4개 도메인에 존재하는 여러 항원을 포함해야 한다고 하였다. 관련 구조 정보는 항원결정기 확인, 결정구조 분석 및 돌연변이 연구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고 하였다.
- 저자
- Ryan C. McComb, Mikhail Martchenko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6
- 권(호)
- 34()
- 잡지명
- Vaccin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3~19
- 분석자
- 차*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