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기능화 하는 자동차용 수성도료와 장래 전망

전문가 제언

자동차 도료는 기존의 보호와 미관의 기능뿐만 아니라 환경성과 경제성을 함께 병행하는 것이 필수로 되어있다. 이 특집에서는 자동차 도료기술의 현상과 장래 전망에 관해서 기고자가 주로 종사하고 있는 중상도(intermediate and top coat)의 도료를 중심으로 소개하였다.

 

자동차의 중상도에 있어서는 VOC 삭감의 관점에서 도료의 하이솔리드화나 용제계에서 수성계로 대체가 추진되고 있다. 또한 CO2로 대표되는 온실가스 및 폐기물 삭감의 관점에서 도장 부스 및 건조로의 에너지 절약 공정화가 주요한 대책으로 채용되고 있다. 도료/도장 기술면의 대책으로는 3wet on wet(3wet) 도장시스템으로 대표되는 공정 단축 도장시스템의 도입이 필수로 되었다.

 

현재 비도장 부위에도 소프트 치핑 프라이머(CPr)가 도포되어 중도도막의 최적 물성을 구축하는 시도가 행하여지고 있다. 또한 베이스에 매우 높은 플립 플롭성(FF)을 얻는 방법으로 메탈릭 안료의 배향제어와 최근에는 발색성이 다른 색재를 각 층에 적용한 의장 공법의 설계가 활발하다. 그리고 무기계뿐만 아니라 유기계 재료로서 매팅(matting)과 기능의 양립을 의도한 클리어의 개발이 행해지고 있다.

 

현재 도입 중에 있는 세차 브러시 등에 의한 도막 긁힘 등에 대한 내찰상성을 부여한 고기능 클리어는 높은 탄성을 가진 수지를 적용하는 것으로 파괴 변형에 강한 물성을 갖는다. 현재 멜라민수지, 이소시아네트, /에폭시 및 이소시아네트/아크릴레트에 의한 열과 자외선(UV)에 의한 이중경화 등 경화계 소부온도의 저온화가 검토되고 있다.

 

현재 KCC 등은 현대 자동차 등에 중도 및 상도의 수성도료를 공급하고 있다. 앞으로 추가적인 경제성과 VOC, CO2의 삭감 대책으로 종래 경화계 소부온도의 저온화와 더불어 저온 경화계를 수성도료에 적용하여 경화성을 유지하면서 경화베이스 수지와 함께 안정하게 분산시키는 새로운 기술이 필요하다. 특히, 물 존재 하에서 반응 활성이 높은 경화재의 안정화 또한 컬러와 광택을 가한 베이스/클리어의 고부가가치 도료 개발 등이 중요한 과제가 된다.

저자
SEGAWA Daisuke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6
권(호)
64(4)
잡지명
工業材料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8~23
분석자
이*복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