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분자재료 ABC와 나노테크놀로지의 현상과 전망

전문가 제언

재료과학 연구의 긍극적인 목표의 하나는 다기능재료의 개발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항공기의 날개나 동체에 사용 가능한 경량이면서 고강성, 그리고 도전성고내화성을 겸비한 다기능 복합재료를 말한다.

 

탄소나노튜브(CNT)나 풀러렌 등의 중공 나노입자가 발견된 이래, 나노테크놀로지의 기반재료로서 광범위하게 연구개발이 되어왔다. 생산성이 낮은 단층CNT는 슈퍼그로스(SG)의 개발에 의해 큰 종횡비, 고순도, 고배향성, 고비표면적 등의 특징을 가진 SGCNT의 생산하였고, 이를 도전성 나노필러로서 이용한다. 더욱이 SGCNT의 국재화(localization)가 가능하고, 소량 0.01wt%의 첨가로 10-3S/cm의 체적저항률을 가진 고도전 고무도 개발하였다.

 

최근에는 0.022vol%의 첨가량에서, 10-7S/cm의 체적 저항률을 가진 4 성분계 폴리머 블렌드를 창제하였고, 이 재료는 전자파 차폐재료(EMI- SE: 31dB, 1.6vol% CNT, 9.5GHz)로서도 충분히 기능한다. 필러의 계면 국재화를 위한 필러표면에 수식된 야누스 입자가 그 예이다. 블록공중합체의 나노상 분리 구조를 사용해서 야누스 입자가 제작되었다. 비중심 대칭인 구상 도메인 구조를 가진 SBM 트리블록공중합체를 폴리머 블렌드의 계면에 국재화하여 상용화제 등으로 검토되고 있다.

 

현재 CNT는 단독으로 사용이 어려우므로, CNT를 나노필러로서 폴리머 등과 함께 나노복합소재 개발에 응용되고 있다. 이 분야 최근 연구로는 CTN 용융 혼합하여 매우 낮은 전도 퍼컬레이션 한계치 및 전자파 차폐효과를 3연속구조 다상복합물 구축에 관한 연구가 Rui Dou et al., Polymer, 83, 2016, pp. 34-39, 그리고 숭실대 정영진 교수 등은 CNT로 물성을 강화한 Poly(ethylene terephthalate) 나노복합재료를 Polymer, 38(2), 2014 pp. 240-249에 보고하였다.

 

한국 나노혁신 2025(4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을 확정하고(2016. 4. 11), 향후 10년간 투자를 통해 나노기술 혁신을 선도하고자 중점 추진과제에 나노탄소소재가 포함되어있다. CNT를 이용한 나노복합재료의 도전성, 열전도성 등의 기능향상 기술개발에 적극 참여할 필요가 있다.

저자
OKAMOTO Masam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6
권(호)
64(6)
잡지명
工業材料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8~22
분석자
이*복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