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발광성 및 고 광안정성 유로퓸 착물
- 전문가 제언
-
○ 란탄족 이온들 중에서 Eu(III) 및 Tb(III) 이온들이 적절한 리간드와 착물을 형성하면 각각 초과민성 적색 및 녹색 발광을 방출한다. 이들 발광은 띠폭이 매우 좁은 스펙트럼, 고 발광 효율, 큰 Stokes 전이 및 긴 발광 반감기 등과 같은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광전자 디바이스, 바이오 이미징 등과 같은 최첨단 분야에서 새로운 발광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다.
○ 현재 해결해야할 가장 큰 문제점은 사용한 리간드들이 유기분자이기 때문에 광적으로나 열적으로 불안정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최첨단 소재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광 효율이 높아야하며 외부 영향에 대해 화학적으로 안정해야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8-hydroxyquinoline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 4-hydroxy-1,5-naphthyridine 유도체를 사용한 Eu(III) 착물의 합성 및 특성 규명은 매우 의미가 있다.
○ 발광성 란탄족 착물에 대한 연구가 몇몇 대학 연구실에서 수행되고 있다. 거대 리간드를 사용하여 집광도를 높이는 연구, 담체를 사용한 착물의 화학적 안정성 향상 연구 및 실리카 나노입자에 접합하는 응용연구 등이다. 4-Hydroxy-1,5-naphthyridine와 같이 리간드 구조가 플렉시블하지 않고 단단해야하며, 또한 헤테로 고리의 π-conjugate 전자구조를 가져야 화학적 안정성과 함께 에너지 전달에 의한 고효율의 감광성 발광이 유발된다는 결과 발표는 발광성 란탄족 착물 연구에 또 다른 모티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특히, PMMA와 같은 폴리머라든지 실리카 나노입자를 사용한 Eu(III)착물의 하이브리드화 공정 역시 광전자 디바이스로의 응용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분말상태와는 달리 하이브리드에 의해 외부 조사광이 내부 깊숙이까지 들뜸이 일어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뿐 만 아니라 발광체의 화학적 안정성도 향상시킨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공정은 본 분석자에 의해 소개되고 있다. 따라서 적절한 리간드 및 담체의 개발 연구는 란탄족 착물들이 차세대 발광소재로서 각광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 저자
- Huibo Wei, Zifeng Zhao, Chen Wei, Gang Yu, Zhiwei Liu, Bin Zhang, Jiang Bian, Zuqiang Bian, Chunhui Huang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26()
- 잡지명
-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085~2096
- 분석자
- 강*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