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물오수를 저감시키기 위한 환경 친화적 및 손쉬운 통합생물학 겸 광흡수촉매 전자산화공정
- 전문가 제언
-
○ 본 연구는 직물오수 제거를 위해 새로운 접근방법으로 통합처리방법 즉, 생물학적 분해 다음에 P-InDEO 공정을 보고한다. 통합처리 계획공정 첫 단계에서 실과 직물오수의 COD는 셀룰로오스 저감시키는 바실러스 세레우스균를 담은 하이드로겔을 사용하여 생물학적 분해 공정에 의해서 저감시킨다.
○ 생물처리된 오수는 통합계획공정 둘째 단계 즉, Ti/IrO2-RuO2-TiO2 그리고 Ti를 사용하여 InDEO뿐만 아니라 P-InDEO 공정을 따른다. InDEO 내 셀룰로오스의 영향은 처음으로 280-800nm UV 가시광선을 P-DEO 내 접한 산화전극/전해질을 향해 쏘아서 밝힌다. 직물오수를 저감시키는 조합공정효과는 COD 측정과 NMR에 의해 조사했다.
○ 얻은 결과는 갇힌 바실러스 세레우스균을 담은 히드로겔은 COD는 47%까지 낮추었고 셀룰로오스를 94%까지 저감으로 이끌었다. 생물학적으로 분해된 직물오수에 대한 InDEO는 탈색 효율에 관해 셀룰로오스의 효과를 강화했다. 95% 탈색은 COD 변화 없이 얻었다. 그러므로 낮은 현 밀도에서 InDEO는 복잡한 분자에 대한 유기염색을 저감시킬 수 없다. 반대로 P-InDEO는 빠르게 탈색을 하여 COD에 대해 68%까지 탈색한다.
○ 통합 접근방법은 COD에 대해 80%로 저감하여 효과적임을 증명하였다. 이 손 쉬운 공정은 방전되기 전에 직물오수에 관리를 위해 적용하였다. 처리된 물은 멤브레인 여과, 전기투석, 또는 역삼투와 같은 공정으로 소금을 제거한 후에 화장실 물, 세탁용 물 그리고 다시 염색용 물과 같은 2급수(맑고 냄새 안 남 그러나 정수해야 먹을 수 있는 물) 목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다.
○ 한국서도 손쉬운 통합생물학 겸 광흡수촉매 전자산화공정뿐만 아니라 염소진화 잠재력, 염소이온농도 그리고 자연광 활용을 최대화하고 최소에너지 비용으로 직물오수처리를 하기 위한 첨단 기술개발로 이끌어 갈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 저자
- Priyadharshini Aravind,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93()
- 잡지명
- Water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30~241
- 분석자
- 김*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