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획기적인 3차원 미세형상 가공기술

전문가 제언

고속 밀링은 주로 엔드밀 등의 소 지름 회전공구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얕은 절삭 깊이와 높은 이송으로 가공하는 것이다. 종래는 조각기와 같은 가공기로 금형의 형상가공은 할 수 없다고 비판적이었지만, 이제는 소형에 고속 스핀들을 탑재한 머시닝센터를 라인업하고 있다.

최근의 공작기계는 공정집약, 고속?고정밀도화, 환경부하 경감, 네트가공물나 IT화의 기술혁신이 지향적이다. 고속?고정밀도가공기, 다축가공기, 복합가공기, 초정밀가공기 등, 더욱 진화한 새로운 가공기가 공급되고 있다. 고속?고정밀도가공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공작기계의 운동정밀도 해석, 공구정밀도의 향상, CAD/CAM데이터의 정밀도 향상이 중요하다.

고정밀도화의 저해요인은 공작기계의 운동정밀도, 주축의 흔들림, 열 변위, 위치결정 정밀도이고, CAD/CAM에서는 모델링 정밀도, CAM정밀도이며, 공구에서는 마모, Relief 면 거칠기, 다이내믹 밸런스 등의 요인에 의해 면 정밀도가 크게 좌우된다. 어떤 피삭재, 툴링, 가공조건을 선택할 것인 지로도 정밀도가 크게 변한다. 그 중에서도 공구마모는 타의 파라미터에 비해 1자리 이상 높고, 이를 억제하는 것이 가공 고정밀도화에 중요하다.

특히 3차원 미세형상을 μm~nm오더의 가공실현은 대단히 어려울 뿐 아니라 불가능으로 생각해 왔으나, 최근 미세가공기술의 발전과 가공기계 및 공구의 내마모성 등이 획기적인 발전을 거듭, 공구절삭 날의 마모에 의한 절삭상태의 변화를 검지할 수 있는 힘 센서 매립 형 고속공구제어(Force sensor-integrated fast tool control: FS-FTC)기술의 개발로 길이가 긴 장척의 롤 금형을 공정 중 가공력 계측 및 실 가공기 상에서의 3차원 미세형상계측으로 대형 롤 가공에 성공한 사례가 있다.

이들 가공기, 절삭공구 및 가공기술은 구미를 비롯하여 일본이 주도적이며 우리나라는 아직 미급한 기술수준이라 판단, 절삭가공기술의 개발을 서둘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Yuki SHIMIZU, Yuan-Liu CHEN, Young-Jin NOH, So ITO and Wei GAO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6
권(호)
64(4)
잡지명
機械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36~40
분석자
정*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