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암연구에서 종양 스페로이드 모델에 초점을 둔 3차원 배양계 기술

전문가 제언

이 레뷰는 듀크대학 소속 연구진들이 스페로이드 모델을 중심으로 근래 20년 내에 이루어진 3면체 배양계에 관한 200 여편의 연구 논문들을 분석, 연구 사례들을 소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3D 배양계에서 살아있는 종양들의 세포상호 및 세포와 기질 간의 상호관계, 이질성과 구조의 복잡성 등을 설명하고 있다. 특히, 다세포 종양 스페로이드를 중심으로 다양한 3D 배양계를 총 정리하고 있다. 즉 종양스페로이드를 만드는 여러 기술들, 이들을 특성화하는 방법들 그리고 암 연구에서의 이용들을 강조하여 소개하고 있다.  

 

여러 형태의 3D 세포 배양 모델 중에서 스페로이드는 단층배양에서 보다 더 생체 종양을 대표할 수 있는 모델이 될 수 있다는 증거들이 축적되고 있다. 즉 스페로이드는 보다 유사한 형태를 보이며 세포-세포 결합을 형성하는 등의 생체와 보다 유사한 특징들을 보인다. 이 모델을 3D 공격 분석에 이용하여 종양 공격의 평가를 위한 보다 접근된 생리적 시도를 하고 있다..

 

근래 새로운 종류의 항암제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새로운 항암제개발과 개별 환자에 대한 항암제의 선택을 위해서는 보다 적합한 스크린체계가 필요하다. 따라서 항암제 감수성 시험을 위하여 보다 생체에 유사한 배양계의 개발에서 스페로이드는 적합한 모델 중의 하나로 평가되고 있다. 이 방법은 실험관에서 세포 생존을 높이며 생체에서의 암 미세환경과 유사한 조건을 만들어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서 여러 회사들이 관련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일례로서 A사는 “3D Sheroid Culture BME Matrices and Cell Assay"를 시판하고 있다. 스페로이드가 형성된 직후에 기저막 단백질로 구성된 기질에 박히게 되고 이 기질은 히드로겔을 형성하며 여기에 침습성 세포들이 떠돌아다닐 수 있다. 보다 감도가 높고 항암물질 스크린 시험이 용이한 관련 시험검사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에 대비한 장비의 국산화 를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Sritama Nath, Gayathri R. Dev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6
권(호)
163()
잡지명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94~108
분석자
신*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