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연속교반탱크반응기에서 폐기물처리로부터 나온 혼합슬러지로 음식물 및 정원 폐기물에 대한 통합소화

전문가 제언

 재생에너지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서 이를 따라잡기 위해서 많은 국가들이 정치적 목표를 설정하여 도시지역에서 나오는 유기폐기물을 포함하여 바이오매스의 추가적인 형태를 개발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특히 덴마크 정부는 2050년까지 화석연료에서 완전히 벗어나는 과감한 에너지 정책을 펴고 있다.

도시폐기물의 AD는 슬러지처분과 악취를 줄이고, 환경보호뿐만 아니라 병균제거와 관련한 조치로 상당한 이익을 제공한다. AD시설은 흔히 WWTPs에서 발견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CSTRs 내 WWTP 슬러지를 가진 음식쓰레기와 정원폐기물을 통합소화 하여 바이오가스를 생산함에 있어서 혼합기질 비율 그리고 효과조사처리를 위해서 최적 HRT를 식별한다.

표본으로 음식물은 대학교 구내식당에서, 자른 풀과 정원폐기물은 개인정원에서 채취했다. 그리고 슬러지는 WWTP에서 채취했다. 본 연구는 지방, 총 질소 및 총 탄소를 분석하고 휘발성 지방산과 알코올에 대해 분석했다. 음식쓰레기, 자른 풀, 정원폐기물 그리고 슬러지에 대한 BMP실험과 연속교반탱크반응기 실험했다.

CSTR 혼합소화공정에서 공급원료로 사용한 기질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음식쓰레기, 자른 풀, 정원폐기물, 1차 슬러지 그리고 2차 슬러지 별로 조사했는데, 음식쓰레기와 자른 풀의 VS 내용물이 정원폐기물과 슬러지 보다 더 높았다. 일괄시험에서 최대메탄산출양은 음식쓰레기에서 얻었다. 반면에 정원쓰레기에서 낮은 분해성이 보였다. 최대 BMP 값과 더 좋은 분해성은 음식쓰레기에서 얻었다. HRT가 감소할 때 매탄 생산성은 증가하였다. 도시폐기물 중에서 유기물질부분을 더 크게 활용하려면, 폐수처리공장에서 AD의 효율을 신장시킬 필요가 있다.

한국과 같은 아파트 밀집지역에서 가축사료로 사용하고 남은 도시음식쓰레기로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저자
T. Fitamo,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206()
잡지명
Bioresource 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45~254
분석자
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