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하고 통제된 데이터 접근
- 전문가 제언
-
○ 국제적으로 대부분의 나라들은 환자들의 건강과 관련된 의료정보는 함부로 유출되면 프라이버시 침해는 물론 건강관리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온라인상에서 액세스하거나 외부로 전송하는 데는 매우 엄격한 규정을 적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의료관련법에서 의료정보의 외부 전송을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실제적으로 기존의 병원에서 타 병원으로 옮겨 진료를 받을 때는 기존 병원의 의료기록을 디스크에 따로 복사하여 직접 제출해야 하는 비효율성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으며 만약 시간이 급박한 응급환경에서는 중복해서 검사를 받아야 한다. 이는 비용과 시간을 소모하는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 본 발명은 미국 의료정보보호법인 HIPAA의 규정을 준수하면서 환자의 건강정보와 같은 민감한 정보를 원격에서 온라인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방법과 시스템을 제시하였다. 규정에 의한 서면동의서는 전자설명동의서로 대체하여 온라인상에서 환자나 대리인의 확인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바이오인증방식이나 기타 다중 보안방식을 선택적으로 응용하여 보안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최근 우리나라는 섬이나 오지에서의 원격의료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금까지 원격의료에 대한 찬반논쟁이 뜨거웠던 것은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으나, 송수신되는 민감한 환자의 의료정보에 대한 보안대책이 확실하지 않다는 점도 중요한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본 발명의 특성을 이용한다면 우리나라에서 논의되고 있는 원격진료의 보안문제점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또한 국외여행객이 급증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여행 도중에 또는 거주지 이외의 지역에서도 환자의 건강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춘다면 응급상황에 대처하여 국민건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환자가 의식불명인 경우에도 적절한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에 모바일기기와 네트워크 환경이 확산되면서 모바일 사용자인증기술로 각광받고 있는 FIDO(Fast Identity Online) 기술의 적용도 참고로 할 수 있을 것이다.
- 저자
- KONINKLIJKE PHILIPS N.V.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6
- 권(호)
- WO20160079714
- 잡지명
- PCT 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19
- 분석자
- 남*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