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장내 미생물군과 병원성 박테리아의 상호작용과 질병 치료전략

전문가 제언

장내에 존재하는 미생물 집단은 사람의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은 오래 전부터 알려져 왔다. 근래에 들어서는 장내 미생물군의 생태 환경의 변화와 장질환 유발과의 연관성에 관한 의학적 관심이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장질환을 유발시키는 병원성 박테리아에 대한 감염저항성과 감염촉진의 핵심 원인으로 장내 미생물군의 구성 불균형이 지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명확하게 규명된 의학적 표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마땅한 치료방법의 선택도 미확립 상태에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항생제는 장내의 미생물군의 영양소 분포의 교란을 유도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러한 장내 영양소의 변화는 병원성 박테리아의 생장을 확대시켜주는 원인을 제공한다는 반응기작들이 많은 연구결과에서 밝혀지고 있다. 이를 테면 병원성 박테리아들은 장내에 염증반응을 유도하여 장내 미생물군의 생태를 변화시켜 이들로부터 신호전달물질과 생체에너지자원 (탄소, 질소 등)을 생산하도록 유도한 다음 생산된 이 물질들이 그들의 생장 및 독소 생성대사에 활용된다는 것이다.

병원성 박테리아, 숙주, 장내 미생물군의 세 요소들의 상호 관계에 관한 반응기작을 정밀하게 규명하는 것은 감염성 질환을 치료하는데 있어 매우 효과적일 수 있기 때문에 관련 연구자들뿐 아니라 보건행정 당국에서도 이에 관해 상당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특히 장내 미생물군과 병원성 박테리아의 상호작용에 관한 원인규명은 장질환의 치료전략을 세우는데 매우 중요한 수단이 되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연구 자료의 축적이 더 많이 요구되고 있다.

 

장질환의 효과적 치료요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세 요소의 상호 관계에 관한 의학적 규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수많은 질환자들의 고통과 사회적 경비를 감안해 볼 때 효과적 치료요법에 대한 방안이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모색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정밀 측정을 위한 연구시설과 대단위의 연구비 뒷받침도 필수적이므로 국가적 차원의 적극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사료된다.

저자
Andreas J. Baumler, Vanessa Sperandio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6
권(호)
535()
잡지명
Nature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85~93
분석자
정*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