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형 공중통신망
- 전문가 제언
-
○ 무선 통신지원이 가능한 공중 플랫폼은 카메라를 포함한 여러 센서를 탑재하여 감시정찰과 중계통신 능력을 제공한다. 특히 적진의 전방감시와 자연재해 감시는 관련 수집정보의 실시간 전송을 통하여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공중 플랫폼을 이용한 미래 공중통신망의 요구는 크게 증가될 전망이다.
○ 공중 플랫폼에 다양한 센서를 탑재한 조기경보/전장감시 체계는 군 전술/전략 작전지원을 위한 첩보수집 전파를 위해 공중 통신망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적 상황과 전쟁징후 정보를 전후방 각 부대에 실시간 전파가 가능한 공중 통신망 운용은 전시에 더욱 효율적이므로 관련 기술과 체계의 연구개발이 추진되어야 한다.
○ 무선통신에서 고고도/저고도 플랫폼, 드론, 항공기, 비행선 등의 이용은 지상 통신거리 확장을 보완하는 새로운 추세이다. 특히 기존 LTE-A 기지국의 공중망 운용은 적은 비용으로 통신효율을 향상시키며 공중에서 인터넷 접근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사용자 서비스 향상이 예상된다.
○ 유럽연합의 CAPANINA 프로그램은 고고도 플랫폼에 전자식 조향 안테나를 탑재하여 광대역 무선접근을 가능하게 하며, 페이스북은 공중인터넷 서비스를 위하여 고고도 장기체류 항공기와 위성 운용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 ETRI를 중심으로 국내 산학연에서 기존 통신체계의 제한사항 극복과 저비용 고품질 통신 인프라 구축을 위해 성층권 비행선을 이용한 공중 통신망 연구가 수행되었지만 경제성과 효율성 문제로 지연되고 있다.
○ 공중 플랫폼의 환경적인 제한과 규정은 망 프로토콜 설계를 좌우하며 탑재량과 소모 전력은 운용고도에 영향을 주므로 탑재장비의 소모전력 최소화, 전원공급 방법, 운용규정을 우선적으로 연구 개발하여 공중 플랫폼에 적용함으로서 미래형 공중 통신망의 조기구현이 기대된다.
- 저자
- Sathyanarayanan Chandrasekharan,et.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6
- 권(호)
- 54(5)
- 잡지명
-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26~34
- 분석자
- 조*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