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뮴에 오염된 쌀에서 단백질 분리로써 카드뮴 제거
- 전문가 제언
-
○ 본 연구의 목적은 오염된 쌀에 있는 카드뮴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위한 기술을 개발하기위해서 수행되었다. 카드뮴에 오염된 쌀을 세척 후단백질과 전분으로 분리하여 산 알칼리 추출·분리 공정을 거쳐 카드뮴을 제거하는 적정조건을 체계적으로 조사하였고, 이 방법으로 다른 곡물에 들어있는 중금속의 제거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우리나라는 쌀 생산량이 수요량을 초과하는 수급구조인데도 불구하고, 중국에서 2012년에는 16만6000톤, 2013년에는 15만1000톤, 2014년에는 20만5000톤을 수입하고 있으며, 수입량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 정부 당국에서는 수입쌀이 사료용으로 활용된다고는 하나, 사료용도 문제가 있지만, 취반용, 또는 식품공업용으로 전용되어서 국민건강에 위해를 줄 수가 있다. 따라서 수입쌀의 중금속 함량에 대한 엄격한 통제가 필요하다. 국내 농산물의 중금속 잔류허용기준에서 카드뮴은 쌀을 비롯한 대부분의 농산물에 0.1-0.2mg/kg 이하가 되도록 엄격히 규정하고 있다. 모든 수입 농산물도 정밀한 분석을 통하여 이를 지켜야한다
○ 중국에서 농지 오염이 심각한 양자강 유역이나 탄광 하류에서 재배한 벼는 카드뮴 등 중금속 오염이 심각한 수준에 달했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중국에서 수입되고 있는 쌀은 규정에 의해 중금속 함량을 표시해야하고, 국내에서는 발췌검사를 통하여 이를 재 분석해야한다.
○ 현재 수입량에 비해 적은 량이지만 국내산 쌀이 중국 국가질량검험검역총국 주관 하에 쌀의 검역검사 협력 양해각서를 맺어서 중국으로 수출하고 있으며, 앞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 수입한 쌀을 사료용으로 활용하기보다는, 수입쌀 전체 물량에 대하여 정부주도하에 중금속 함량을 재확인하고, 만약 카드뮴 함량이 기준치를 넘으면 반환조치하거나 국내 식품업체에서 탈중금속화하여 공업용 또는 사료첨가용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본다.
- 저자
- Yinqiang Huo, Hongying Du, Bingying Xue, Meng Niu, and Siming Zhao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6
- 권(호)
- 81(6)
- 잡지명
- Journal of Food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576~1584
- 분석자
- 장*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