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학적 방제와 영양분
- 전문가 제언
-
○ 생물학적 방제는 특정 생물을 이용하여 병해충, 잡초 등을 방제하는 기술로 최근에는 토양복원, 녹조제거, 원유분해 등을 위한 미생물 개발 또는 생물유래물질까지 범위가 확대되어 적용하고 있다.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방제는 해충이나 잡초 등 유해생물의 밀도를 낮게 할 목적으로 하며 해충과 길항미생물의 상호작용 시스템을 장기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인공적으로 대량 증식한 길항미생물을 집중적으로 방사하여야 한다.
○ 미국 EPA에서는 생물학적 방제에 사용되는 생물을 생물농약과 기타 생물방지제로 구분하고 생물농약은 다시 세균, 진균, 원생동물, 바이러스 등의 미생물농약과 페로몬, 호르몬, 천연 식물생장조절제, 효소 등의 생화학농약으로 나누어 관리하고 있다. 이외에도 곤충포식생물, 대형 기생생물, 선충 등이 포함되는 천적생물 등이 있는데 식물농약으로 분류되는 유전자변형식물은 이식한 유전물질로부터 식물체가 생산하는 농약기능이 있는 물질을 일컫는다.
○ 국내에서 사용되는 생물농약은 전체농약의 10% 정도로 연간 1,220억원 수준인데 국내에서 사용되는 미생물 살충제는 나방 및 모기 방제에 사용되는 BT제가 있으며 농용 항생제에는 폴리옥신, 스트렙토마이신 등이 있고 생물조절제에는 GA, IAA, IBA 등이 있다. 미생물을 이용하여 기존의 화학비료와 농약을 적게 사용하면서도 농사를 지을 수 있다면 농업환경을 보존하여 장기적인 생산성을 확보하면서 저공해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어서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 국내에서도 친환경농업에 대한 이해와 폭이 점차 커짐에 따라 유용 미생물의 농업적 이용에 관한 연구 및 개발이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2011년도에 11.1%에 불과하던 친환경적 방제기술 등록이 2015년도에는 64.3%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생물학적 방제의 기반에는 미생물학, 발효공학, 생물공학, 식물병리학, 분자생물학, 곤충학 등의 고급지식이 필요하며 이들 학문과 연계하여 방제효과와 생태적 적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앞으로 이루어야할 숙제가 되고 있다.
- 저자
- Dana Blackburn, David I. Shapiro-Ilan, Byron J. Adams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6
- 권(호)
- 97()
- 잡지명
- Biological Contro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31~138
- 분석자
- 황*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