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삭가공의 고속화를 위한 기술과 과제
- 전문가 제언
-
○ 최근 종래 기술로는 가공이 곤란한 난삭재 또는 난삭 형상의 초정밀?미세가공 기술의 필요성에 더해 고 능률화?저 코스트의 요구가 그 어느 때보다 강화되고 있다. 이에 대하여 특히 난삭재?난삭형삭에 대하여 현저히 절삭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공법의 장치와 가공기술의 개발이 가일층 되고 있다.
○ 타원진동 절삭 프로세스에 의한 담금질 강이나 텅스텐합금, 유리 등을 다이아몬드 공구의 절삭으로 고경도?취성 재료의 초정밀?미세가공 기술은 실용화 되고 있으며, 특히 코팅된 초경합금과 cBN소결체 볼 엔드밀로 고경도 강의 완성 절삭가공에서 코팅된 초경합금 엔드밀의 Relief 면의 마모량은 가공 길이가 길어질수록 증가를 보였지만, cBN소결체 엔드밀의 Relief 면의 마모량은 400m를 절삭했어도 극히 미량을 보여 공구의 장 수명화를 확인하였고, 또 엔드밀의 미소지름화에서 φ0.1mm 지름의 PCD볼 엔드밀을 사용한 0.5mm 깊이의 초경합금의 완성절삭 사례 보고도 있다.
○ 이들은 일본의 Mitsubishihitachi(三菱日立)Tool(주)와 일진(日進) 공구(주)의 실험 결과이며, 고속 밀링이나 고속 머시닝센터에 의한 실험으로 가능한 것이었다. 또 고속 엔드밀의 개발은 절삭 이론을 바탕으로 공구의 고속회전 시의 흔들림 정밀도, 날의 정밀도, 절삭 칩 배출 기능, 발열에 의한 공구의 마모나 변형 등을 면밀히 검토함으로 개발시험에 성공을 할 수 있었다.
○ 또 Mitsubishi Material은 높은 Al 함유 비율과 경도를 겸비한 TiAlN(티타늄 알루미늄 나이트 라이드)막을 공구에 코팅함으로 종래의 것에 비해 4배의 장 수명화에 달성했다는 보고도 있다. 이와 같이 고속 절삭기술과 이에 필요한 공구 및 공작기계는 매일 진화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에 대응할 수 있는 고속절삭기술 및 절삭공구의 개발을 서둘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Toshitaka MATSUOK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6
- 권(호)
- 64(4)
- 잡지명
- 機械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8~25
- 분석자
- 정*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