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종합잡초관리를 위한 생물제초제

전문가 제언

세계적으로 미생물 혹은 천연분자로부터 유래된 13종의 생물제초제만이 현재 출시되었다. 첫 생물제초제는 1980년대에 개발되었다. 1980년 이래 생물농약의 수는 전 세계적으로 증가되었으나 생물제초제의 시판비율은 생물농약의 10%이하이다. 미국(4), 캐나다(3), 우크라이나(1)와 같은 몇 나라에서 시판되고 있다. 허가된 13종의 생물제초제 중에는 9종은 진균, 3종은 세균미생물이며, 1종은 천연식물추출물인 활성물질이다.

 

2000년 이후 개발된 생물제초제는 진균으로부터 유래한 Mycogen, Cotral Pastes, Smoulder, Starritor, Phoma이고, 세균으로 유래된 생물제초제는 Opportune, Camperico, Organo-Sol, Bioprotec Herbicide이고 식물추출물로부터 얻은 생물제초제는 Beloukha이며, Katoun(pelargonic acid)는 비농경지에 사용하기 위하여 보급될 예정이다.

 

많은 생물제초제에 의하여 나타낸 전망에도 불구하고 부분적으로 포장조건에서 일관되지 않은 효능으로 장기적인 상업적 성공달성은 많지 않다. 유기농업 및 종합잡초관리는 한 종류의 잡초관리기술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생물제초제를 포함한 여러 잡초관리기술과 동시에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앞으로 생물제초제의 세계적 시장에서 많은 효과적 해결책을 개선하기 위하여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 생물제초제 연구는 여러 식물에서 추출물을 스크리닝을 하여 제초활성물질을 동정하는 단계로서 성과물은 아직 매우 미진한 실정이다. 제초활성물질 탐색은 일부 자생식물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삽주로부터 isolantolactonoid butenolide A, 애기수영으로부터 chrysophanic acid, 할미꽃으로부터 anemonin을 분리, 동정하였다

저자
S. Cordeau, M. Triolet, S. Wayman, C. Steinberg and J. P. Guillemin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87()
잡지명
Crop Protec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44~49
분석자
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