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영출력 원자로에서의 중성자 조사량 예측

전문가 제언

 

이 문헌에서는 영출력원자로에서 중성자와 감마선이 흡수된 부품의 특성과 영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Fricke gel 선량계로 혼합 방사선 장에서의 조사 성분을 분리 평가하였다. 금과 Mg-Ni의 방사화된 박(foil)을 이용한 상이한 지점의 중성자속을 측정함으로서 이 방법의 검증을 수행하였다. MCNP 코드를 이용하여 원로설비의 정확하고 완전한 입체모형을 알아보는데 Monte Carlo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였다.

 

핵연료봉이 규정되면 시뮬레이션으로 원자로 내의 특정 부위에서의 흡수선량을 계산한다. 특정 부품의 열/열외 중성자의 흡수선량을 Fricke gel 선량계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측정결과로 중성자와 감마선 조사량을 구분할 수 있었다. Monte Carlo 시뮬레이션과 실험결과로 원자로운전 중에 중성자속 밀도와 방사선조사선량을 알 수 있었다. 시뮬레이션과 실험결과는 원자로 내의 모든 부위에서 잘 일치하고 있었다.

 

우리나라가 보유한 원자력발전소의 Full Scope 시뮬레이터는 보수정비(O/H) 기간에 필수 과정인 영출력 노물리 특성시험에 대한 교육이 불가능하다. 영출력 노물리 특성 시험 시뮬레이터는 원자력발전소 운전원들이 교육훈련을 통해서 체계적인 영출력 노물리 특성시험을 함으로서 O/H시간을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한 경제적 이익이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전원자력연료()에서 2000년에 노심모델 및 시뮬레이션 환경을 포함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한바 있다. 제어 패널은 주제어실(MCR)의 제어패널 중에서 노심에 관계된 것만 선별적으로 사용하였고 노심모델은 NEM/(Nodal Expansion Method)/ANM(Analytic Nodal Method)방법을 사용하고 시뮬레이션 환경은 GUI(Graphics User Interface) 방식으로 개발하였다.

 

정상상태의 노심모델은 설계코드와의 비교를 통해 검증하였고, 과도상태의 노심모델은 벤치마크 문제 비교를 통해 검증 연구를 수행한바 있다. 그 결과 설계코드가 가지는 정확성을 알 수 있었으며 노심모델을 사용함에 있어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저자
S. Trivino,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6
권(호)
127()
잡지명
Radiation Physics and Chemi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62~67
분석자
이*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