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재활용 처리기술 기반 전과정 환경평가 - 중국의 폐휴대폰

전문가 제언

중국에서 폐휴대폰(WMP)의 수는 최근에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전체 재순환 네트워크가 개발되고, WMP 재활용 프로세스는 산업화될 필요가 있다. WMP는 가치가 있지만 재활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잠재적인 환경 압력은 현재 잘 이해되지 않고 있다. 세 재활용 시나리오는 상이한 현재 WMP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구성하고, 시나리오의 환경적 영향의 라이프 사이클 평가를 수행 하였다.

 

여기서 비교한 세 가지 시나리오 전부가 환경 편익을 제공하지만, 이익 규모의 순서는 시나리오 3> 시나리오 2> 시나리오 1 순으로 감소했다. 가능한 모듈화 공정 때문에 리튬 배터리에서 금속 및 인쇄 회로 기판 재활용이 가장 환경 친화적이다.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산성화 및 질화 발암 효과, 기후 변화, 생태 독성, 화석 연료 사용, 무기 호흡 효과, 미네랄 효과의 영향을 감소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WMP 재활용의 산업화는 "수동 분해 플러스 모듈화 재활용"모델(시나리오 3)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 이러한 결과는 WMP의 처리에 관여하는 의사 결정자가 에너지를 포함한 자원이 WMP에서 재활용할 수 있는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

 

휴대폰의 구성 요소는 일반적으로 껍질인 쉘(shell), PCB, 액정 디스플레이(LCD) 및 리튬 전지이다. 한 대당 WMP에는 금 0.034g, 0.2g, 팔라듐 0.015g, 구리 10.5g, 코발트 6g 등 다양한 금속 물질을 포함한다. 광물자원의 90%를 수입하는 우리나라의 경우 자원순환이 반드시 필요하다. 자원 재활용은 에너지절약과 CO2 배출량을 줄인다.

 

우리나라에서 한해 발생하는 WMP은 최근 1100만대로 추정되고 있으나 수거는 200만대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WMP 수거관리는 주민센터나 판매대리점 전달, 편의점 착불 택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WMP을 부적절하게 버릴 경우 휴대폰에 함유된 납, 카드뮴, 비소 등 유해물질로 인하여 인체, 대기, 토양, 수질 등의 환경오염이 발생된다. 국내 실정에 맞는 WMP 처리방법 시나리오별 환경적 영향의 전과정평가를 수행하여 최적 처리방법을 찾는 일이 시급하다.

저자
Jinghong Bian, Hongtao Bai, Wenchao Li, Jianfeng Yin, He Xu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131()
잡지명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09~218
분석자
김*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