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웨어러블 기기의 보안접속 기술

전문가 제언

이 기술은 적은 전력으로 또는 전력 없이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처음으로 접속 자격을 부여 받은 사람에 의해서 계속해서 착용되고 있는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기술이다. 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타인에 의하여 불법적으로 착용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프라이버시에도 관련이 깊다.

 

○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제품으로 성공하려면, 먼저 디바이스의 적용되는 센서의 정확도와 다양성과 같은 수행능력, 또한 인터넷을 이용하는가 아니면 스마트폰을 이용하는가와 같은 무선통신과 제품의 이동성, 이에 따르는 소형화, 제품의 고객 맞춤형 설계와 심미적 형태의 구성과 참신한 콘텐츠, 착용자의 고유한 ID를 이용한 보안 접속과 인증과 보안 유지 및 착용자의 개인 기록에 따른 프라이버시 같은 보안상의 문제 등이 요구된다.

 

○ 특히 디바이스의 소형화와 이동성 및 착용 편이성 때문에 도난과 같은 디바이스의 불법사용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착용자의 필요에 따라 디바이스를 벗고 다시 착용할 때마다 다시 보안 접속을 해야 하는 불편함도 발생할 수 있다.

 

○ 이 특허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보안 접속을 통한 모니터링 외에 자동차, 빌딩의 사무실 등에서도 필요로하는 보안 접속을 위한 방안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이 기술에서는 최초로 ID가 등록되는 초기화 디바이스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이 및 접속 디바이스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이에 무선통신을 위하여 근거리 무선통신과 전력의 무선 공급을 위하여 RFID 태그를 이용하고 있어서 이는 앞으로 사물인터넷과 같은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여지를 보여주고 있다.

 

○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단순한 착용자의 생리적 특성을 계측하는 단계를 넘어서 웨어러블 컴퓨터의 기능과 외부의 전자기기와의 융합과 접속을 필요로하는 단계로 진화되고 있다. IT 분야에서는 보안 접속 기술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보안을 위한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연구가 필요하다.

저자
INTEL CORPORATION,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6
권(호)
WO20160105911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67
분석자
김*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