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기후조건과 대기오염이 어린이들의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

전문가 제언

   ○ 현대 생활에서 실내에 머무르는 시간이 증가하고 있어 실내공기 오염의 심각성과 인체 위해성에 대한 문제는 중요한 환경문제로 다루어지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에 따른 기온상승, 미세먼지와 기체상의 오염물과 같은 대기 오염물의 농도 상승, 에너지 절감 및 효율 향상을 위한 건축물의 밀폐수준 강화, 유해한 화학물질을 함유한 건축내장재와 실내용품의 사용 등이 실내 공기의 질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 실내공기의 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최우선 방법은 환기(ventilation)이며 외부 대기의 오염수준, 계절, 건축물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환기방식이 선택되고 대기 오염물 여과장치나 냉난방장치와 연계 운용방안 등이 결정되어야 한다.

 

   국내에서도 대기 오염물과 암, 호흡기질환, 아토피 피부염 등과의 연관성을 연구한 사례들이 있으나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가 매우빈약하다. 앞으로 학교 교실, 노약자 집단 거주시설 등의 실내 환경에 대한 공기 질 측정과 실내공기 오염물들이 거주자들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결과가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기상환경과 대기오염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어린이나 노약자 거주시설의 설계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연구도 필요하다.

 

   ○ 실내 거주자들의 열 쾌적성(thermal comfort) 평가결과는 쾌적한 실내 환경조성, 냉난방 시스템의 효율 향상, 건축물의 에너지 절약, 거주자들의 업무능력 향상 등에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거주자들의 연령, 건강상태, 면역수준 등의 특성을 고려한 신뢰성 있는 열 쾌적성 평가모델의 개발도 필요하다.

 

   ○ 어린이들이 미세먼지나 기체상의 대기 오염물에 대하여 어른들보다 취약하다는 연구결과가 있으므로 앞으로 국내에서도 노약자나 어린이들이 거주하는 실내의 공기 질 측정결과를 바탕으로 실내공기 질을 개선하기 위한 환기방식 도입과 오염물 배출이 적은 건축내장재나 실내용품의 사용을 의무화하는 제도의 시행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저자
Tunga Salthammer,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94()
잡지명
Environment Internatio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96~210
분석자
양*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