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변형성이 큰, 화학적으로 결합된 탄소나노튜브 계면방열소재

전문가 제언

이 분석물의 첫 번째 인상은 연구내용과 결과는 매우 흥미로우나 내용전개가 상당히 비조직적이라는 것이다. 예를 들면 스폰지 같은 CNT 나 화학적으로 결합된 CNT 등의 표현은 상당히 이채롭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제조공정이나 메카니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부족하다.

 

그 외에도 2. 결과와 토의 부분이 전체적으로 잘 설명되고 정리된 느낌을 받기가 어렵다. 하지만 그 결과는 매우 바람직하다. 관심있는 사람들이 논문에 접근한다면 이점을 고려하여 숙독하기를 바란다.

이 분석물의 내용은 스폰지 형태로 만들어 모듀라스를 떨어뜨리고(변형성을 높이고), CNT를 물리적인 접촉이 아닌 화학적인 결합으로 유도하여 열전도도를 대폭 향상시킴으로써 모듀라스(변형성)와 열전도도의 서로 상반되는 관계를 상호보완적인 것으로 발전시킨 것이다. 매우 인상적인 부분이다.

 

전자기기의 이용이 각 산업에 확산되면서 기기의 열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계면 방열소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어 왔었다. 기기의 효능향상과 장기 안정성을 위해서 꼭 필요하기 때문이다. 국내 관련 산학연의 관심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분야이긴 하지만 관련 전자업계나 KIST와 같은 출연연구기관, 자동차 부품연구원 등에서 세계기술의 흐름을 꾸준히 벤치마킹하고 있다.

국내 계면방열소재의 응용에 대한 근년의 소식은 “다우코닝, 반도체 패키지용 방열젤 출시”(2015.5.26) 와 “HEM(Honeywell Electronic Materials), 모바일 기기 열방출개선 신소재로 성능↑”(2014.9) 등이 있다. 이것은 모두 국내개발기사가 아니라 다국적기업의 신소재 출시를 다루고 있다. 국내사정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이 분석물의 내용을 응용하는 다른 길은 화학적으로 결합된 CNT 그물망을 다른 분야에 적용할려는 노력이다. 전기전도도가 대폭 향상된 복합재료 발포체의 용도가 계면방열소재에만 국한되지는 않을 것이다.

저자
Hong Wang,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6
권(호)
106()
잡지명
Carbon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52~157
분석자
최*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