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전자파 차폐용 생분해성 고분자/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나노복합재료 발포체

전문가 제언

이 분석물의 특징은 다음의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는 다루기 힘든 생분해성 고분자 PLLA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고, 둘째는 압력유도 흐름(PIF)가공이라는 창의적인 가공법을 채택하고 있다는 것이다.

 

PIF가공을 통해 벽돌과 진흙이라는 독특한 모폴로지를 만들어 PLLA 의 가공을 보다 용이하게 하였고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발포공정의 효율을 향상시켰다. 아무래도 이 기술의 핵심은 본문에서 단순하게 언급한 실험부분 2.2 “하나의 설계된 몰드에서 시트상으로...”에 있다. 그렇게 단순한 몰드는 아닐 것이다. 다각적인 고찰이 요구되는 부분이다.

 

다루기 힘든 생분해성 고분자의 나노복합재료 발포체를 사용하여 성공적인 전자파 차폐소재를 소개한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나 부정적인 측면도 없지 않다. 우선 용도에 꼭 생분해성이 요구되느냐 하는 것이다. 생분해성은 오히려 소재의 내구성 측면에서는 불필요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한 측면에서 PIF공정을 다른 범용고분자에도 적용해 봄직하다.

 

고분자에 전도성 나노소재를 첨가하여 발포체를 만드는 것은 전자파 차폐용 가벼운 소재를 생각하는 첫 번째 접근법이다. 그러나 제조원가의 측면을 고려하면 복합재료를 만든 후 다시 비연속적인 방법으로 발포공정을 거친다는 것은 비실용적일 수 있다. 동시발포 혹은 연속공정을 생각하는 새로운 발상이 있어야 한다.

 

국내 자동차, 전자산업의 발전에 발맞추어 전자파 차폐소재에 대한 관심은 꾸준하다. 탄소나노튜브나 그래핀과 같은 나노탄소재료를 활용하는 R&D 프로그램에는 반드시 전자파 차폐소재가 포함되고 있다. 그러나 그 내용의 대부분은 단순한 복합재료에 국한되고 있다. 발포체에 대한 부분은 미진한 편이다.

 

PIF와 같은 창의적인 가공법을 도입하는 범용 고분자의 전자파 차폐 연구에 관련 과학기술자들의 관심을 촉구한다.

 

 

저자
Tairong Kuang,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6
권(호)
105()
잡지명
Carbon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305~313
분석자
최*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