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에 적용 가능한 수소연료전지와 태양전지 복합 동력시스템
- 전문가 제언
-
○ 무인 항공기(drone)는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고 지정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작한 비행체로 고정익 무인기, 단선 익 무인기, 다선 익 무인기 등세 가지로 분류되며, 용도별로는 군용 무인기, 공업용 무인기와 일반 개인용으로 판매되는 세 가지로 분류된다. 드론은 향후 미래의 주요 군사력 수단으로 주목을 받고 있으며, 최근에는 과학기술, 통신, 배송, 촬영 등 다양한 분야에 확대되어 사용되고 있다.
○ 드론의 세계시장 규모는 2015년 1.3억불에서 2020년에는 10억불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앞으로 10~20년이면 드론 황금시대를 맞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2014년 기준 세계 무인기시장은 미국 54%, 유럽 15%, 아시아 13%, 중동 12% 등으로 미국과 유럽이 과점체제를 형성하고 있다. 최다 드론 보유국인 미국은 120여종 1만1000여대의 드론을 보유하고 있고, 미국 외에도 이스라엘, 프랑스, 영국, 러시아 등이 드론 개발과 운영 중이다.
○ 소형 UAV 하이브리드 동력 시스템은 연료전지, PV 패널, 전기모터, 컨트롤러, 배터리, 그리고 프로펠러로 구성되며, 동일한 비행 성능을 유지하면서 크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동력 시스템을 대체할 수 있다. UAV의 최초 발진시에는 큰 동력이 소요되며, 배터리에 저장된 동력이 사용되고, 순항 중에 소요되는 동력은 일정하게 작으므로 연료전지-PV 하이브리드시스템에 의해 공급되어 순항시간의 증가가 가능하다. 장시간의 운항은 이착륙회수를 줄일 수 있음을 의미하며, 운영비의 감소와 손상의 위험부담을 줄일 수 있어 드론의 보급 확산에 기여할 수 있다.
○ 국내의 무인항공기는 2004년부터 군에서 운용하고 있는 정찰용 송골매와 날개폭이 25미터에 이르는 대형 중고도 무인기가 있다. 600마력 급 스마트 무인항공기는 수직 이착륙과 고속비행이 가능한 틸트 로터 형 항공기로 500 km/h의 고속자율비행이 가능하다. 대한항공의 근접감시용 무인항공기는 줌 카메라가 장착돼 임무지역 영상을 지상통제소에서 실시간으로 관찰 및 저장이 가능한 근접감시 용으로 반경 40 km 이상을 2.5시간 동안 실시간으로 감시 정찰할 수 있는 성능을 가지고 있으며, 향후 무인항공기의 개발을 선도하고 있다.
- 저자
- Mohamed Gadalla, Sayem Zafar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6
- 권(호)
- 41()
- 잡지명
-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6422~6432
- 분석자
- 진*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