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면공학을 이용, CsPbX3 페로브스카이트 나노결정 기반 녹색 발광소자의 휘도 향상
- 전문가 제언
-
○ 최근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와 양자점 TV(액정표시장치와 광원(백라이트) 사이에 양자점 필름을 끼워 넣어 더 선명한 색상을 구현한 TV)가 경쟁체제를 이룬 가운데 양자점 그 자체를 발광다이오드로 이용하는 양자점 발광다이오드(QLED)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 이러한 가운데 넓은 영역의 파장에서 색상변화가 가능하고 선명한 색상을 나타내는 발광체, 할로겐 화합물인 페로브스카이트 CH3NH3PbX3 와 CsPbX3 양자점의 QLED 활용에 대한 연구논문들이 봇물이 터지고 있다. 본 분석물도 그 중의 하나이다(위의 화학식에서 X는 할로겐을 나타낸다).
○ 특징적인 것은 본 분석물이 종래 광전기기의 효율향상을 위한 중간층개념을 발광다이오드에 처음으로 접목시켜 LED의 휘도를 대폭 향상시킨 것이다. 매우 인상적인 부분이다. 그러나 단지 염려되는 것은 향후 상업화의 관점을 고려한다면 부가적인 공정과 이에 따른 원가상승이다.
○ 현재 LED를 위한 페로브스카이트 연구의 중심에는 CH3NH3PbX3와CsPbX3 양자점의 두 주류가 있다. 국내의 사정은 CH3NH3PbX3 분야에 연구인력이 집중되어 있는 느낌이다. 이는 국내 연구진의 활약이 활동적인 태양전지 분야에서 그 성능이 입증된 이 소재가 이제 LED 쪽에서도 뜨거운 관심을 받게 되자 자연스럽게 연구방향이 이동된 것이다.
○ 어차피 현 단계로서는 딱히 어떤 소재가 실용적으로 적용될 것인가 하는 질문에는 정답이 없다. 결국은 소재의 가성비가 최종결정의 핵심이 될 것이다. 다시 말하면 우수한 성능, 저렴한 소재원가와 제조공정이 연구개발의 필수적인 요건이 된다.
○ 이러한 관점에서 국내 연구활동이 미진한 CsPbX3 분야에도 활력을 불어넣어 CH3NH3PbX3 분야에 뒤지지 않는 역동성이 부여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는 과정에도 CsPbX3 분야의 연구개발 결과를 지속적으로 벤치마킹하여 기술발전의 추이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 저자
- Xiaoyu Zhang,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16()
- 잡지명
- Nano Letter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415~1420
- 분석자
- 최*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