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조절 가능한 다공성을 가진 임시 접착제

전문가 제언

근년 자동차나 전자기기 등의 조립 공정에서는 경량화, 소형화 및 공정 간편화를 도모하기 위해 부품조립의 접합기술도 용접, 리벳 등을 이용하는 물리적 방법에서 열융착, 접착제, 점착제 등을 이용하는 화학적 대체기술로서 전환되고 있다.

특히, 조립공정에서 캐리어 기판 상에 작업 단위(work unit)를 일시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임시 접착제가 이용되고 있다. 캐리어 기판으로부터 작업 단위를 제거할 때 각각의 표면이 손상되지 않게 하기 위해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접착제의 결합강도도 함께 상당히 감소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 발명은 디스플레이나 반도체와 같은 전자기기 부품의 조립공정에서 리소그래피, 증착, 연마 등과 같은 화학적 및 기계적 공정단계를 거치는 동안 경질의 캐리어 기판 상에 작업 단위를 임시로 고정할 수 있는 조절이 가능한 다공성의 임시 접착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 임시 접착제는 캐리어 기판으로부터 작업 단위를 분리할 때 액체가 접착제의 기공을 통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침투하여 작업 단위 및 기판에 손상이나 흔적이 없이 신속하게 분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한편, 특허청구권에는 기존 공지의 화학제품을 이용한 배합기술이 위주로 되어 있지만, 이 특허를 참고할 경우에는 접착제 조성 중의 반응성 수지와 충전제의 결합에 의해 접착제 내의 다공성을 조절하는 기술에 유의해야 한다. 국내에서는 삼성전자, Henkel 등이 임시 접착제 관련 특허를 출원하고 있으며, 임시 접착제의 제조에는 Henkel, 한국쓰리엠, 엠케미텍 등이 참여하고 있다.

향후 전자기기 등의 조립과정에서 부품을 캐리어 기판 상에 임시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접합수단의 도전과제로는 부품조립공정 중의 리소그래피, 연마, 광택 또는 기타 물리적 및 화학적 작업에 견딜 수 있는 접착력의 유지는 물론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작업 부품을 캐리어 기판으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그들의 원상태로 손상 없이 신속하게 제거가 가능한 임시고정용 접착제의 개발이다.

저자
John MOORE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6
권(호)
US20160017184
잡지명
US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0
분석자
황*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