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된 해양 천연 약물 발굴 방법
- 전문가 제언
-
○ 본 총설이 제시하는 해양생물자원으로부터의 효율적 약물탐색의 방법은, 오늘날의 스마트폰이 요소기술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처럼, 이미 알려져 있는 기술들을 어떻게 조합하여 생물활성 스크리닝 효율을 높일 수 있는가에 관한 내용들을 성공사례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 유전체마이닝 개념은 처음으로 2000년 초반에 S. coelicolor에 응용하여, 새로운 nonribosomal 펩티드와 세스키테르펜을 발견하였다. 그 뒤로 섬유상 균류, 방선균, 해양 시아노박테리아 등에 응용하여, 폴리케타이드, meroterpenoids, 전사후 수식 리보소말 펩티드, 리포펩티드, 디케토피페라진 등의 새로운 생물활성물질들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앞으로도 거의 무한한 해양미생물 자원으로부터 많은 신규 의약용 물질들이 개발될 것으로 기대된다.
○ 현재의 NMR 실험의 최소 시료양이 ∼1 mg 수준이다. 그러나 많은 경우에 분리 정제된 생리활성물질 시료의 양이 마이크로그램 또는 그 이하일 경우가 많기 때문에 NMR을 고속(high-throughput)분석시스템과 연동시키는 데는 현재로선 한계성이 있다.
○ MS 기술은 엄밀히 말해 확실한 해답을 준다기보다 주석적 응용에 쓰인다. 즉 이미 알려져 있는 화합물 라이브러리로부터 확인 정보를 얻는 수준이다. 따라서 확인된 새로운 화합물의 실시간 라이브러리 업그레이드가 생명이다. 제한된 시료의 양을 분석, 신규성을 결정해야하는 경우는 업그레이드된 라이브러리가 절대적이다.
○ 많은 노력으로 얻어진 해양 생리활성물질의 신규성을 규명하는 것은 유전자 수준 또는 화학구조적 수준에서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한다. 거의 모든 경우가 최근 개발된 첨단장비를 이용한 신속한 분석기술이 뒷받침되어야 하기 때문에 사실은 경제적으로 많은 투자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국내의 대학이나 중소기업의 소규모 단일 연구실에서의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얻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아 고가 장비 컨소시움을 통한 협동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 저자
- Guojian Zhang, Jing Li, Tianjiao Zhu, Qianqun Gu and Dehai Li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6
- 권(호)
- 42()
- 잡지명
- 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3~23
- 분석자
- 윤*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