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계 UV 경화형 도료의 개발과 특징
- 전문가 제언
-
○ 코팅 작업은 누구라도 간단히 행할 수 있는가, 어느 대상을 어느 정도 접착시키고 싶은가 등의 욕구가 도료(도장재료)의 고성능화, 다기능화, 접착에 관련한 과학을 발전시키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과거의 접착 개념과는 다른 도장제가 고안되고 있다.
○ 본 문헌에서는 아크릴실리콘수지를 매트릭스 재료로 하여 광 양이온(cation) 경화에 의한 방법의 과제 해결을 위한 시도를 소개하고 있다. 종래의 자외선 경화 수지에서는 어려웠던 용도로의 적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 폴리실록산 수지는 저수축성과 내마모성을 큰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트 재료이다. 경량화와 소형화를 목적으로 향후 점점 플라스틱 필름은 박막화 된다. 그의 보호막으로서 저수축성과 내마찰성의 중요성은 증가해 갈 것이다. 폴리실록산 수지는 필름의 하드코트 재료로서 높은 가능성을 나타낸다. 내마모성이 높기 때문에 전차와 자동차의 차창 등 마모 내구성이 요구되는 용도로의 전개도 기대된다.
○ 다채로운 응용이나 신규 코팅제가 개발되고 도장 분야에서 충실이 진행되고 있는 반면 거기에 전개되고 있는 접착이론의 본질은 전혀 변화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최근 표면?계면 해석기술과 나노기술의 진보가 현저하다. 표면?계면을 원자 레벨?나노 오더로 관찰하여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 용도나 특화된 코팅제 분야는 잠차 한국에서도 크게 확대되고 있다. 이는 자동차, 전자, 정보기술 등의 산업분야에서 한국이 세계적으로 차지하는 역할을 대변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분야를 보면 디스플레이용, TSP용, 전자부품용, 자동차용, 모바일용, 단백질 기반 의료용, 편광필름용 등의 고부가가치 특수 기능 코팅물이 주목을 받고 있다.
- 저자
- Matsuo Yoichi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64(4)
- 잡지명
- 工業材料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70~74
- 분석자
- 김*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