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T 네트워크 기반 액추에이터 제어 및 데이터모니터링 기술
- 전문가 제언
-
○ 과거 블루투스 기술적용 사례에서 중앙 및 일부지역의 집중된 데이터 허브 네트워크의 구현 시 실제 통신거리 구현성능이 저하되어 ROI나 가성비를 재검토하게 하는 경우가 있었다. 최근 인터넷이나 원격지 중앙네트워크 허브에 연결 없이도 기기 간 직접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한 저 전력 블루투스 기반 Mesh 네트워크의 기술개발과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저 전력 블루투스 네트워킹기술은 상대적으로 기기 Local 네트워크 구축비용 대 효과가 크고 모바일기기 장착으로 향후 발전전망과 함께 적합성 인증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IoT네트워크의 설계에서 본고 기술과 같은 IoT디바이스의 Local 네트워크 구현 시 다양성으로 인해 템플릿과 표준만이 최선이 아니며 대부분 선택적 유연성이나 확장성이 필요하다. 로컬 네트워크에서의 무선센서 네트워크 노드의 기술적 이슈는 소형화, 저 전력 무선통신, 환경에너지활용, 고가용성 메시 네트워킹, 자율 자동처리, IP 접속 기술에 초점이 있다.
○ IoT 디바이스 네트워킹에서 다양한 WPAN 기술과 Wi-Fi 및 6LoWPAN의 논의가 지속되어 왔으며, 최근 이동통신사들의 LPWA 망 형성 및 Metering, Tracking, Monitoring 서비스 사업 추진으로 디바이스 네트워킹이 이슈화되고 있다. LPWA 이전에 성공과 실패를 직접적으로 판단할 만한 IoT 디바이스의 네트워킹 사례가 아직 없으나 활성화 추진과 더불어 기대가 크며 중소기업의 기술종속 여부나 적합성여부 판단에 따른 방향 수정도 필요할 것으로 본다.
○ 최근 D2D 통신효율성을 전제로 셀룰러 링크와 D2D 링크 간 간섭제어와 인접단말 탐색, 네트워크설정, 자원할당에 관한 국내외 연구가 활발하다. 2016년 7월 기준으로 ‘IoT, Device, Local, Network’를 키워드로 한 국별 출원건수 검색 결과 2007년 이후 총 216건으로 미국 71건, 중국64건, PCT 51건, EPO 13건, 한국 12건 순으로 중국의 기술개발 추세에 대응이 필요하다. PCT 51건 중 국내 S전자가 1위로 29건(2016년 20건)을 차지하고 있어 IoT 기술개발 성과가 고무적이나 국내 IoT 산업발전의 동반 시너지효과를 위해 타 업체들의 기술적 노력을 촉구한다
- 저자
- NOKIA Technologies OY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6
- 권(호)
- WO20160097822
- 잡지명
- PC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34
- 분석자
- 박*만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