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전력 IoT 기기들의 신속연결을 위한 디바이스 네트워킹 기술
- 전문가 제언
-
○ Physical 웹처럼 인터넷이나 원격지 중앙네트워크 허브에 연결 없이도 기기 간 직접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한 저 전력 블루투스와 Wi-Fi 기반 Mesh 네트워크의 기술개발과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저 전력 블루투스 기반 네트워킹 기술은 이미 상용화되고 있지만 디바이스의 Local 네트워크 구축비용 대 효과가 크고 프록시 역할의 USB기반 비콘과 함께 모바일기기 활용으로 향후 증가가 예상된다. 본고 기술과 유사 기술을 적용하는 과제에서 구현시스템의 안전성과 신뢰성, 에너지 저감이나 디바이스 수명연장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 Apple iBeacon, Google Eddystone이외 비콘 솔루션, 플랫폼, 서비스, 하드웨어, 펌웨어, 칩셋 등의 개발 및 상용화에 대한 국내외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최근 블루투스 결제 솔루션이 부상하고 있다. 와이파이와 블루투스 비콘 기술을 결합한 솔루션과 서비스 적용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적용 기술들은 주로 고 듀티사이클을 전제로 하고 있어 저 에너지, 저 듀티사이클 디바이스들 간의 네트워크 연결에는 프록시기기로서의 BLE 비콘 기술과 지속적 광고 알고리즘 기술의 접목이 필수적이다.
○ 2016년 7월 기준으로 키워드 ‘ BLE*Beacon*Network '로 출원 특허를 검색한바, 총 출원 건수는 38건이다. 추이는 2013년, 2014년 각각 2건, 2015년 20건, 2016년 14건으로 2013년 iBeacon 출시이후 기술개발이 가속화된 것으로 보인다. 출원국 별 총 출원 건수의 비중은 미국 21건, PCT 9건, 영국, 3건, 중국 2건, 캐나다, EPO, 한국은 각각 1건으로 미국이 리드하고 있다고 보여 진다. "NLE*Beacon*Device' 키워드로 분석한 결과를 비교할 때 한국은 네트워크보다 디바이스 개발에 비중이 있어 향후 BLE 기반 IoT 디바이스 이외에 IoT 네트워크 구성과 서비스에서 BLE기반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 강화도 필요하다.
○ 특히 주요 출원업체가 EBAY, PAYPAL, AET등 유통 및 카드사이고 NFC 결제시스템의 비즈니스모델이 안정화되지 않은 가운데 BLE 결제 시스템의 장점이 부각되고 상용화 추진이 이슈화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 발표된 IoT 기술 로드맵 상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플랫폼 편중 여부와 SPND 중 S와 N 관련 기술에 대한 비중 검토도 필요하다.
- 저자
- Qualcomm Incorporated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6
- 권(호)
- WO20160099682
- 잡지명
- PCT 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46
- 분석자
- 박*만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