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살균 잠재력의 benzimidazole 유도체 합성과 바이오활성

전문가 제언

본고에서는 chrysanthemum acid 일부를 함유하는 새로운 일련의 benzimidazole 유도체를 설계 및 합성하였다. 예비 바이오활성 조사에서 이들 화합물 전부는 in vivo에서 기존의 β-cypermethrin 살충제 보다 배추좀나방 Plutella xylostella와 무테두리진딧물 Lipaphis erysimi에 대한 살충활성이 낮았으나 잿빛곰팡이병균 Botrytis cinerea과 균핵병균 Sclerotinia sclerotiorum에는 양호한 억제활성을 보였다.

 

B. cinerea에 대한 8a 유도체 화합물의 살균활성은 기존의 살균제 thiabendazole과 거의 대등하였고 S. sclerotiorum 균주에 대해서는 2배의 활성을 보였다. 더욱이 9e 유도체 화합물은 두 진균균주에 가장 강력한 억제활성을 보여 thiabendazole보다 거의 두 배 수준이었다. 따라서 chrysanthemum acid 일부와 benzimidazole 골격을 갖는 새로운 살균제 개발전망이 밝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Benzimidazole계 중 carbendazim 살균제는 현재도 다양한 진균 방제에 널리 쓰이고 있지만 저항성 문제는 병 방제에 실패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Carbendazim이외 thiabendazole 살균제도 일부 병에 심각한 저항성을 보였다. 따라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농약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농약개발과 발견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와 관련된 최근의 국내 연구동향을 보면 새로운 신규화합물 합성에 대한 노력은 없으나 benzimidazole 살균제의 농작업자 위해성 평가를 비롯하여 유전자 분자마커를 이용한 배 검은별무늬병균의 benzimidazole계 살균제 저항성 검정법 확립 및 benzimidazole계 살균제의 세포독성 평가 등이 수행되었지만 농약 원제생산을 위한 노력은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저자
Weijie Si,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41(1)
잡지명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5~19
분석자
한*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