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건강 위기관리를 위한 분석 대상 물질 및 냄새 물질 데이터베이스

전문가 제언

일본의 경우, 농약은 2006년의 포지티브 리스트 제도 실시 후, 많은 검사 기관에서 분석하고 있는데, 이취, 이물, 이상한 맛, 변색 등의 불만이 분석실에서 많이 거론되고 있다. 특히 이취의 발생 요인은 특정 이취 물질의 혼입, 원재료의 산지 변경 등에 의한 구성 성분의 비율의 변화 등 다종다양하다.

 

이취 물질은 종류가 많은 데다 법적 기준이 없고 더욱 인간의 코가 기기 분석보다 감수성이 높은 경우도 있는 등 대응에 고려할 것이 많다. 이취 물질, 농약 등을 포함하여 많은 유기 화합물을 동시에 측정하는 것은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생각하는데 중요하지만, 농약과 알코올이나 알데히드 류 등의 이취 물질은 끓는점이 달라 GC/MS의 측정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별도로 취급되는 경우가 많다.

 

포지티브 리스트 시스템(Positive List System)이란 농약의 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불검출 수준(0.01ppm 이하)으로 관리하는 제도를 말하는데, 우리나라는 견과종실류와 열대과일류에 대해 농약 포지티브리스트시스템 도입(’16.12.31.시행) 견과류, 과일·채소류음료의 중금속 기준 강화(’16.6.1.시행) 18개 식품유형의 위생지표균과 식중독균 규격에 통계적 개도입(’16.12.31.시행) 석창포의 식품원료 사용기준 강화(’16.1.1. 시행) 등으로 되어있다.

식약처(2013)는 안전성관리기반연구로 유해물질 인체모니터링을 위한 생체시료수집 및 자료 분석을 실시한 바 있으며, 박성우 등은 HPTLC GC/MS를 이용한 유해화학물질의 스크리닝에 관한 연구를 하였으며, 박종세(2013) 등은 각 물질별 위해성평가 수행 시 요구되는 물리 화학적 성질 및 독성정보, 환경 내 동태 및 잔류정보, 용량-반응관련정보, 규제관련정보 등을 총망라하여 수집 가공하고, 이를 사용자환경을 구축하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화를 하였다.

 

저자
Yasuhito Ueda1, Mitsuo Itoh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6
권(호)
57(2)
잡지명
食品衛生學雜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46~50
분석자
정*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