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핫멜트 접착제

전문가 제언

핫멜트 접착제는 용융상태에서 기재에 도포한 다음 접착층을 경화시키기 위해 냉각된다. 이와 같은 접착제는 제품의 어셈블리 및 포장과 같은 여러 가지 상업적 및 공업적 용도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기저귀 및 생리용품 등을 제조하기 위한 부직포산업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핫멜트 접착제에 있어서 주성분은 열가소성 수지이며, 이 수지의 종류에 따라 폴리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또는 폴리아미드계 핫멜트 접착제라고 부른다. 또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공중합체(SBS) 또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공중합체(SIS) 등 스티렌 블록공중합체와 같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핫멜트 접착제도 알려져 있다.

종래의 폴리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는 물리적인 폴리머 혼합물로서 일시적인 접착을 형성하는 데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영구적으로 견고하게 접착시키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데, 이는 원료 자체의 특성으로 인해 온도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내열 범위가 작아지기 때문이다. 종래의 폴리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의 연화점은 통상적으로 70℃ 내지 160℃이다.

 

이 발명의 청구범위를 보면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은 적어도 40wt%의 1-부텐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는 90-10wt%의 비정질 폴리올레핀 코폴리머 조성물과, 프로펜 코모노머 단위 및 에틸렌, 1-헥센, 1-옥텐 및 비정질 블록 및 결정질 블록으로 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코모노머 단위로 된 10-90wt%의 헤테로상 폴리올레핀프로필렌 코폴리머로 구성되어 있다.

비정질 폴리머와 헤테로상 폴리올레핀을 블렌딩하는 핫멜트 접착제에 대한 기술은 미국의 IFS Industries Inc.가 주로 가지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The Procter & Gamble Co.가 개발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와 일본특허에서는 아직 찾아볼 수 없다. 국내출원 여부는 아직 주시해볼 필요가 있으며, 관련기업에서는 이 발명과 기존 기술의 장점을 비교하여 연구해볼 필요가 있다.

저자
IFS Industries Inc.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6
권(호)
US20160068716
잡지명
US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8
분석자
서*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