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초 고경도 장갑용 강의 탄도성능

전문가 제언

  

     강장갑을 포함 강의 열처리는 세계적으로 가장 오랫동안 가장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온 주제로 장갑용 강의 경도와 장갑의 탄도성능과의 관계를 지으려고 수 많은 연구자들이 노력해 왔지만 ,강의 강도가 중 저 값일 때에는 장갑자체의 성질에 의해 탄도성능이 결정되나,장갑판재의 경도가 아주 높을 경우는 장갑판재보다는 탄의 파괴에 의해 장갑재성능이 결정 된다. 이는 강의 강도와 성질에 미뤄서 어렵지 않게 예측되는 부분이다.

 

○        경도가 570HB이상인 초고경도 강 장갑판재 경우, 장갑의 탄도성능은 철갑탄의 경우 재료의 경도와 인성과는 관계가 없으며, 오히려 철갑탄이 부서져서 코아만이 남게 되어 장갑의 파괴 메커니즘은 코아에 의한 장갑재의 단열성 전단밴드를 형성하면서 plugging에 의해 일어나며, 파편탄의 경우는 파편탄이 부숴져서 더 이상의 장갑의 파손은 두께에 따라 진행된다.

 

    국내에서 강 장갑은 국방과학연구소를 중심으로 포항공대를 포함한 산학연 연구로 우리나라 최초 장갑차에 적용된 HHARHA(균질압연강재)를 포함한 표면에 강도가 높은 HHA를 댄 유격장갑이 해당되고, 특수 장갑 키트(SAP)형태로 적용된 K1전차의 장갑에도 강 장갑이 포함되어 있는데, 동일한 관통자에 대해 장갑재의 성질로서 장갑성능을 최대로 하기 위해서는 강 장갑은 오스테나이트화후 뜨임온도가 낮을수록 탄도성능은 좋으며 450뜨임(RHA)을 권장한다.

 

○       이러한 경도별 장갑성능의 특성을 살려 체계의 위치별 기능별 각각 특성을 살린 경도를 갖는 장갑재를 적용 체계를 완성, 체계에 대해서 방호력 평가를 하고 가장 높은 방호력이 나오는 조건에서 체계를 구성하는 것이 중요한데, 예컨대 지뢰 같은 경우는 파편탄에 의한 손상이므로 차량의 아래 바깥 부분은 파편탄의 방호력이 좋은 경도가 나오게 열처리를, 포탄이나, 철갑탄의 표적이 되는 포탑이나 동체 부분은 그에 맞는 경도를 갖도록 복합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저자
S. Ryan , H. Li, M. Edgerton, D. Gallardy, S.J. Cimpoeru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6
권(호)
94()
잡지명
International Journal of impact engineering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60~73
분석자
허*무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