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상이한 반응 환경 하에서 실제 섬유폐수의 생물학적 염료탈색 성과에 대한 분석

전문가 제언

섬유폐수에 함유된 독성유기 오염물질 중에서 염료, 특히 반응성 아조(Azo)염료는 재래적 방법에 의한 분해, 제거가 어려워 심각한 환경오염물질로 작용한다. “상이한 반응환경 하에서 실제 섬유폐수의 생물학적 염료탈색 성과에 대한 분석을 주제로 하는 본 논문은 단독적인 혐기성(Anaerobic)이나 호기성(Aerobic)과 연속적 혐기성-호기성의 상이한 반응환경 하에서 염료를 함유하는 실제 섬유폐수의 생물학적 염료탈색을 비교분석한다.

 

본 연구는 연속회분식 반응기에서 수행되었고, 더 나은 성과가 혐기성과 연속혐기성-호기성 시스템으로 실현되었으며, 그것은 70-80%의 효율에 도달한 것이다. 연속시스템은 최고의 제거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 성과는 입상슬러지 생물반응기와 같은 복합기술로 획득된 공정률보다 더 높은 것이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실제 폐수에 의한 연속공정의 높은 성과는 앞으로 생물학적 처리의 응용을 촉진하는 전진 단계라는 것이 강조되고 있다.

 

섬유폐수의 생물학적 염색탈색은 생물처리에 의해 염료를 분해·제거하는 방법으로 반응성 아조염료를 함유하는 실제 섬유폐수의 생물학적 염료탈색 처리에 응용된 연속 혐기성-호기성 공정은 단독적인 혐기성이나 호기성시스템에 비해 색도의 분해, 제거에서 뛰어난 성과를 보였으며 실현된 제거 비율은 70-80%의 범위에 도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섬유폐수의 처리에서 부유 바이오매스로 운전된 연속 혐기성-호기성 시스템의 효과를 확인해 주는 것이다.

 

오늘날 염료가 함유된 섬유폐수처리 대책이 시급한 가운데 이에 대한 고도처리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이를 위해 물리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 방법이 병행되어 이용되고 있으나 완전 분해의 한계 등으로 혐기성-호기성 연속회분식 반응기가 확실한 기술적 대안이 되고 있다. 그러므로 섬유 폐수의 생물학적 염료 탈색에 대한 연속회분식 반응기 응용기술 연구가 촉진되어 그 실용화가 보급되어야 할 것이다.

 

저자
M. Concetta Tomei,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6
권(호)
129()
잡지명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468~477
분석자
장*복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